“인터넷언론, IT기업 성격도 있어..실명제 문제 심각”
미디어산업, 온라인으로 플랫폼 집중..규제 시대착오적
2012-04-03 17:42:51 2012-04-03 17:55:17
[뉴스토마토 최용식기자] “언론사들도 이제는 하나의 인터넷기업이에요. 더 이상 실명제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인터넷기업들이 겪었던 실명제에 대한 악몽이 언론사들에게도 재현될 전망이다. 미디어 플랫폼이 종이와 방송이 아닌 온라인으로 통합되는 일련의 과정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공직선거법를 근거로 소셜댓글에도 이용자 실명인증을 하라는 중앙선거위원회의 요구에 언론사들이 반발하는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소셜댓글서비스 운영업체 시지온에 따르면 지디넷코리아, 블로터닷넷의 경우 소셜댓글 도입 이후 트래픽이 2배 이상 증가했다.
 
"트래픽은 곧 돈이다"라는 업계 통념에 비춰볼 때 선거기간동안 이 만큼의 경제적 피해가 일어난다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같은 피해가 일시적이지 않다는 것. 미디어산업의 세계적인 트렌드가 인터넷 비중이 더 높아지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써 <BBC>의 경우 2006년 '찾기, 플레이, 공유'라는 웹2.0 핵심 개념을 사업 전반에 적용키로 했으며, 2010년 <USA TODAY>는 신문기업에서 멀티미디어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또 덴마크의 미디어전문가 토마스백달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뉴스미디어의 주요 플랫폼은 신문, 라디오, TV가 아닌 사회관계망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SNS컨설팅 기업 '누리터커뮤니케이션즈'의 이승훈 대표는 "이미 해외에서는 구매체 영역이 디지털 아래로 들어갔다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인터넷 실명제라는 규제에 놓인 국내 언론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지금은 단순히 소셜댓글 차단에 따른 피해를 입을 뿐이지만 망법상 제한적 본인확인제와 공직선거법상 실명제가 여전히 남아있는 한 향후 신사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이미 보도국내에서 온라인 전문가들의 위상이 높아지는 등 국내 미디어업계에서도 변화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들의 입법에 힘을 실어준 게 바로 언론사라는 사실은 매우 아이러니컬하다"고 말했다.
 
실명확인제라는 규제에 힘을 실어준 게 바로 종이신문 시대를 풍미했던 언론사라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