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소규모 정비사업은 사업 규모는 작아도 서울과 수도권 내에 자사 주거 브랜드를 홍보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중견사들의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위 10대 건설사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27조8298억원에 달합니다. 이는 10대 사의 지난해 전체 수주액인 27조8702억원에 육박합니다.
중견 건설사들은 모아타운이나 가로주택정비사업 같은 소규모 정비사업을 노리고 있습니다. 사업비 등에서 대형 사업지와 비교는 안되지만 서울권 수주가 가능하고 간소한 행정절차, 인근 브랜드 타운 형성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올해 소규모 정비사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성과를 기록한 곳은 동부건설입니다. 동부건설은 현재까지 △망우동 509-1 △고척동 모아타운 4·5·6구역 △석수역세권 모아타운 1·2·3구역 △천호동 145-66번지 등 가로주택 정비사업만 4건을 수주하면서도 5680억원의 수주고를 올렸습니다.
지난해 신규수주 4조2000억원, 도시정비 6657억원의 수주실적을 올린 코오롱글로벌도 적극적으로 모아타운 등 소규모 정비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코오롱글로벌은 모아타운 1호 사업장인 강북구 번동 1~10구역(2060가구)을 비롯해 최근에는 총 1673가구 규모의 마장동 모아타운 수주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마장2구역 가로주택 사업(공사비 1100억여원)을 비롯해 각종 정비사업에서 3586억원의 수주고를 올렸습니다.
이외에도 현재까지 △금호건설(3023억원) △KCC건설(2949억원) △HJ중공업 건설부문(2945억원) △HL디앤아이한라(2842억원) △쌍용건설(2604억원) △대방건설(1683억원) 등이 소규모 정비사업 위주로 1000억원 이상의 수주고를 기록 중입니다.
중견사 텃밭도 대형사 무대 되나…고강도 대출 규제에 중견사 ‘한숨’
다만 중견건설업계는 주요 먹거리로 삼고 있는 소규모 정비사업장 조차도 향후 대형건설사들에게 우위를 뺏길까 염려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방위적인 ‘6·27 대출규제’ 발표 이후 정비사업지의 추가이주비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습니다. 시공사가 조달하는 추가이주비는 대출규제 대상이 아니다보니, 조합원들 입장에서는 시공사의 추가이주비 지원 여부가 시공사 선택의 키로 부상했기 때문입니다.
한 중견건설사가 시공 중인 서울 내 도시정비사업 현장. (사진=송정은 기자)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추가이주비 문제가 본격적으로 부상하면 사업수주 시에도 중견건설사들이 대형사 대비 금융적 메리트가 적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여기에 중견사의 주요 무대인 중소규모 정비사업지에 대형사 중에서도 다소 신용등급 등이 떨어지는 회사들이 참전하려는 경향도 있어 걱정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장은 “서울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공급확대가 중요한데, 대출 규제로 인해 추가 이주비 대출을 지원할 수 있는 시공사는 사실상 대형사 밖에 없다”며 “전반적인 브랜드파워도 약해 선호도도 떨어지다 보니 서울의 정비사업은 대규모 쏠림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중견건설사들의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들 우려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