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먹통 '더딘 복구'…피해 '늑장 공개' 점입가경
시스템 복구율 여전히 '10%대'…정상화에 4주 이상 소요 전망도
2025-09-30 17:36:35 2025-09-30 18:23:24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국가 전산망이 마비되는 사태가 지난 26일부터 닷새째 계속되고 있지만, 복구율은 아직도 10%대에 머물렀습니다. 정부24 우체국예금·보험 복지로 등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는 재개됐지만, 시스템 완전 정상화까지 복구 속도가 더딘 상황입니다. 여전히 500여개가 넘는 행정정보시스템의 중단으로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정부가 전산망 먹통에 따른 피해 목록을 뒤늦게 발표하면서 '늑장 공개'란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중앙우체국을 방문해 전산장애 대응 금융·택배 서비스 정상화 조치 현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뉴시스 사진)
 
1등급 절반가량 복구했지만…아직도 500여개 시스템 '먹통'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30일 오후 2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됐던 647개 시스템 가운데 91개가 정상화됐습니다. 복구율은 14.1%입니다. 전날과 비교했을 때 복구율이 대략 3%포인트 정도 올랐습니다. 특히 1등급 핵심 업무 38개 중 21개(55.3%)가 정상화됐지만, 화재 피해 규모가 큰 5층 전산실은 여전히 복구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국정자원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습니다.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에 위치한 시스템들은 재가동을 이어갔지만, 화재가 발생한 5층 7전산실과 7-1전산실, 8전산실에선 시스템 복구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7전산실에 200개, 7-1전산실에 96개, 8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51%)가 집중돼 있는데요. 특히 직접 피해를 입은 7-1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센터로 이전되는데, 완전 복구까지 당초 예상됐던 4주보다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시스템 정상화 작업이 지난 28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아직도 500여개 시스템이 멈춰 있는 것인데요. 시스템 복구 인력은 공무원 130명, 유지관리 사업 인력 574명 등 700명이 넘지만 복구 속도가 확연히 더딘 상황입니다. 
 
이재용 국정자원관리원장은 브리핑에서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에 비해 복구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에 대해 "사고 발생 당시 절차 없이 전원 차단이 이뤄져 일부 부품 손상이 발생했을 수 있고, 열이나 연기에 민감한 장비 특성상 검증 과정이 길어진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열이나 연기가 가해졌기 때문에 부품에 손상이 있었다"며 "재가동 과정에서 부품을 새로 수급하기도 하면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은 "26일 화재 이후 정부와 관계 기관은 밤낮없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복구를 진행 중이지만 불편을 겪고 계신 국민들을 생각하면 많이 부족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민원 대란 따른 국민 원성에…뒤늦게 647개 피해 목록 공개
 
이런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는 이번 화재로 서비스가 중단됐던 647개 시스템의 전체 목록을 뒤늦게 공개했습니다. 전산망 마비로 이용할 수 없게 된 행정 서비스 내역을 알지 못해 불편을 겪는 국민들에게 미리 전체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 이제야 시스템 전체 목록에 이어 대체 수단까지 내놓게 됐습니다. 
 
시스템 전체 목록을 보면 1등급 38개, 2등급 86개, 3등급 294개, 4등급 229개 등 총 647개입니다. 공개된 자료를 보면, 이용자가 많은 1등급 시스템은 기존에 알려진 36개에서 38개로 소폭 늘어나는 등 중대본의 초기 발표와 다소 차이가 있었습니다. 
 
정부는 민원 신청을 방문·우편 등 오프라인으로 대신해야 하는지 아니면 어느 사이트를 이용해야 하는지, 이른바 '대체 수단'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했습니다. 예를 들어 2등급인 국민신문고는 각 지자체 민원실을 방문하고,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는 실물 공무원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식입니다. 
 
다만 전반적으로 시스템 복구율이 10%대에 머물면서 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한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가 최소 한 달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안 시스템 점검해야"…이 대통령, 모든 부처에 긴급 지시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각 부처들은 보안, 국민 안전, 위해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 및 시스템이 매뉴얼대로 되고 있는지,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최대한 신속하고 철저하게 점검하기 바란다"고 각 부처에 지시했습니다. 이어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고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각 부처는 조속한 시스템 정상화와 혼란 최소화에 전력해주기 바란다. 특히 행정망 공백을 악용한 해킹이나 피싱 등 범죄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전산망 마비 사태의 원인으로 꼽히는 이중화 조치 미비 논란과 관련해 "당연히 이중 운영 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안 하고 있었다는 것을 모른 제 잘못이기도 하지만 각 부문에 이런 게 많을 가능성이 있다"며 "중요한 시스템은 전부 점검해 다음 주 국무회의 때까지 각 부처들은 최대한 빨리 서면으로 보고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