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내리면 뭐하나' 대출금리 여전히 4%대
2025-07-11 16:00:13 2025-07-11 17:50:42
 
[뉴스토마토 이재희 기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와 은행채 금리가 하락하면 대출금리도 내려가야하지만, 대출금리는 4% 중후반대 높은 수준을 보이며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은행들은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에 따라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대출금리를 인상한다는 입장인데요.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차주들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코픽스 역대 최저인데 주담대 금리 올라
 
(그래픽=뉴스토마토)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연 2.63%로 올해 1월 대비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0.45%p 떨어졌습니다. 지난 2022년 6월 2.38%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 연속 내림세입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IBK기업·SC제일·한국씨티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편균금리로 변동형 주담대 금리의 기준이 됩니다. 
 
코픽스는 은행이 실제 취급한 정기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을 반영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해 10월부터 금리 인하 사이클에 접어들어 지난 5월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고 있는데요.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은행들이 예·적금금리를 낮추자 코픽스도 자연스레 하락하고 있는 것입니다.
 
주담대 지표금리 역할을 하는 은행채(무보증·AAA) 5년물 금리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지난 4월 7일 2.797%를 기록한 이후 소폭 올라 2.80~2.85% 수준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은행채 5년물이 2.7%대까지 떨어진 건 지난 2022년 3월 이후 약 3년 만입니다.
 
가계대출 속도 조절 위해 가산금리 인상
 
그러나 조달 환경이 좋아진 은행들과 달리 차주들의 고통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세에도 실제 소비자들이 내는 대출금리는 오히려 올랐기 때문입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만기 10년 이상 주담대 상품의 평균 금리는 4.28~4.55%에서 4.39~4.81%로 오히려 올랐습니다. 
 
우리은행은 이달 1일 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종전 3.52~3.71%에서 3.58%~3.78%로 상하단 모두 0.06%p씩 올렸습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도 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3.54~4.95%에서 3.62~5.03%로 상하단 모두 0.08%p 올렸습니다. 하나은행도 변동형 주담대 대환대출 상품의 최저금리를 3.73%에서 3.83%로, 혼합형 주담대 대환대출 상품 금리를 3.73%에서 3,83%로 각각 0.1%p 인상했습니다. KB국민은행과 농협은행은 각각 4.02~5.84%, 3.33~5.88%로 동일했습니다. 
 
은행들은 부동산 가격 폭증에 따라 금융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이 작용해 어쩔 수 없단 입장입니다. 당시 금융위는 대책 중 하나로 하반기 금융권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절반으로 축소하겠다 밝혔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금융당국은 금리 변동 위험을 낮추기 위해 은행권에 주택담보대출 고정형 상품 기준을 높이라고 권고해 왔고 상대적으로 고정형 상품 금리가 낮다보니 금융 소비자들이 시장금리 하락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최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과열 조짐을 나타내면서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해 금리를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상 주담대 지표금리로 활용되는 코픽스나 은행채 금리 등이 하락하면 대출금리도 내려가야하지만 대출금리는 여전히 4% 중후반대를 보이고 있다. 은행들이 정부 6.27 부동산 대출 규제를 이유로 가산금리를 높여 대출금리를 끌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서울 한 은행 대출창구의 모습.(사진=뉴시스)
 
이재희 기자 nowh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