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통신3사와 휴대전화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측정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결과입니다. 품질 측정은 단말기의 위치설정(GPS)과 와이파이 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일시적으로 켜고 위치정보의 신속성과 정확도를 평가했습니다.
기지국 방식의 경우 위치정확도가 52.3m에서 25.0m로, 응답시간은 3.0초에서 1.4초로 크게 개선됐습니다. 와이파이 방식 역시 모든 지표에서 향상을 보였는데요. 위치기준 충족률은 96.8%에서 98.9%로, 정확도는 20.1m에서 18.7m로, 응답시간은 4.2초에서 2.4초로 개선됐습니다. GPS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97.7%→99.0%)과 응답시간(4.6초→1.7초)은 개선됐지만, 정확도는 11.3m에서 12.7m로 다소 하락했습니다.
통신3사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평균 결과. (자료=방통위)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이 GPS와 와이파이 방식의 위치기준 충족률에서 각각 99.8%와 99.5%로 최고 성적을 거뒀습니다. 위치정확도는 기지국 방식에서는 KT(22.3m), GPS 방식과 와이파이 방식에서는 SK텔레콤이 각각 8.6m, 14.5m로 우수했습니다. 응답시간은 모든 방식에서 KT가 가장 빨랐습니다.
한편, 애플이나 샤오미 같은 외산 단말기는 기지국 위치정보는 제공하지만, 와이파이 기반 위치정보는 통신3사의 측위 기능이 탑재돼있지 않아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샤오미 단말기는 특정 조건에서 GPS 정보를 제공하도록 부분 개선됐고, 애플 단말기는 긴급통화 중이거나 종료 후 5분까지 자체적으로 계산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영규 방통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각종 긴급구조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치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긴급구조기관과 통신3사, 단말기 제조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