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번엔 '본청 내 국회협력단' 압수수색…증거인멸 수사 속도
단장 자택·용산 사무실 이어 국회까지
계엄 사전 인지·증거인멸 여부 조사
2025-02-19 17:18:07 2025-02-19 17:18:07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검찰이 19일 국회 본청 내 '국방부 국회협력단 사무실'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국회협력단은 '계엄군 길 안내'와 '증거 인멸' 의혹을 받고 있는데요. 전날 용산구 국방부에 있는 양모 협력단장(준장)의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틀 연속 압수수색을 통해 수사에 속도를 낸 겁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가 국방부 국회협력단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한 지난 18일 국회 국방부 국회협력단 사무실이 봉쇄되어 있다. (사진=뉴시스)
 
협력단장 사무실·자택 이어 추가 '압색'
 
<뉴스토마토>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의 국회협력단 사무실에 검사·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단행했습니다. 협력단은 국방부와 국회 사이 연락·협조 업무를 수행하는데요. 검찰은 협력단이 12·3 계엄 당시, 계엄군에게 길을 안내하는 등 내란에 가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료를 확보하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검찰 특수본이 작성한 공소장에 따르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12·3 비상계엄 선포 때 이진우 당시 수도방위사령관에게 국회 봉쇄를 지시하면서 '필요하면 국회에 파견된 협력단장 도움을 받으라'고 지시했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당일 오후 10시45분께 김 전 장관으로부터 어디 있는지 묻는 전화를 받고 "삼각지 숙소에 있습니다. 국회로 가겠습니다"라고 답했으며, 김 전 장관은 "수방사령관하고 통화해라, 특전사하고"라고 말한 뒤 끊었다고 합니다.
 
이어 이 전 사령관이 오후 11시20분께 전화해 "우리 병력이 갈 건데, 안내를 해주라"고 말하자 양 단장은 "저는 여기를 잘 모른다"라며 "잘 모르는데 어떻게 안내합니까"라고 답한 걸로 전해집니다.
 
양 단장은 이 전 사령관에게 '일관되게 어렵다고 답변했다'고 설명합니다. 이 전 사령관이 다음날 0시34분까지 최소 5차례 전화해 병력 안내를 요구했는데, 만일 안내하겠다고 했다면 여러 차례 반복해 전화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협력단장, 계엄 다음날 폐쇄된 협력단실 출입 의혹"
 
그러나 양 단장 주장은 내란 가담자들의 행적과 배치됩니다. 김 전 장관은 계엄 하루 전인 지난해 12월2일 본회의 참석차 국회를 방문해 이례적으로 국방부 국회협력단 사무실을 찾아 오래 머문 걸로 알려졌습니다.
 
또 양 단장 등 협력단 소속 군 간부 7명은 계엄이 선포된 직후 국회 사무실로 속속 모여들었다가, 이튿날 새벽 5시16분에야 국회사무처의 요구에 따라 전원 동시 퇴실했습니다.
 
검찰은 국회협력단이 사전에 비상계엄을 인지했는지, 증거를 인멸하려 했는지도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야당 간사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내란 국조특위(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계엄군이 국회로 들어왔을 때 협력단 인원들이 폐쇄회로(CC)TV에 찍혔다"며 "계엄 연루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지 않으냐"고 했습니다.
 
윤 의원은 "협력단장이 계엄 다음날 폐쇄된 협력단실에 출입했다는 제보가 있다"며 "증거를 은닉·파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