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부채비율 줄이기 '안간힘'
SK에코·GS건설·롯데건설 부채비율 200% 초과
자산 매각 등으로 부채비율 줄이기 집중
2025-02-21 16:08:24 2025-02-21 16:08:24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건설업계가 원자잿값 상승, 환율과 금리 등 경제지표 불확실성 증가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이에 업계는 올해 초부터 선별 수주 강화와 비용 지출 감소 등 '내실 경영'에 힘을 쏟는 모양새인데요. 무엇보다 업계는 부채비율 줄이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업계가 공사비용 증가와 경기악화로 인한 미수금 증가와 신규수주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만큼 과도한 부채비율은 최악의 경우 부도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21일 금융감독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평균 부채비율은 157%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말 기준으로는 3% 포인트(p) 상승한 수치입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개별 기업별로 살펴보면,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DL이앤씨,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의 작년 3분기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최대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반면 △GS건설(↓24.1%) △포스코이앤씨(↓18.3%) △롯데건설(↓18.2%)는 전년대비 부채비율이 하락했습니다. 다만 GS건설과 롯데건설은 여전히 위험수준인 200%(GS건설 238.4%, 롯데건설 217.1%)를 넘기고 있습니다. 주요 건설사 중 가장 높은 부채비율을 기록한 곳은 SK에코플랜트(251.3%)입니다. 
 
중견건설사들의 상황도 비슷합니다. 시공능력평가 30위 이내 건설사 중 지난해 3분기 부채비율 200%를 초과한 곳은 △계룡건설(231.2%) △동부건설(249.9%) △한신공영(221%) △HL디앤아이한라(269.3%) 등입니다. 
 
부채비율 200%를 넘기면서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 비율인 유동비율이 100%를 넘기는 곳도 적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건설사가 금호건설(부채비율 2023년 말 260.2%→ 2024년 3분기 640.5%)인데요. 금호건설 부채비율 증가는 향후 발생하는 손실들을 선제적으로 반영하면서 생긴 결과입니다.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송정은 기자)
 
신사업 확대 등으로 부채비율 늘기도…향후 수익전환 여부 중요
 
이처럼 부채비율이 증가하자 건설사들은 자산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11월 '동탄2대우코크렙뉴스테이기업형임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주식 180만주를 1800억원에 처분했습니다. 8년 임대 기간 후 분양 전환 수익이 발생하는 뉴스테이 사업을 조기에 지분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나선겁니다. 이외에도 현대건설,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등도 뉴스테이 리츠 지분을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는 최근 광화문 도심업무지구(CBD)에 자리잡은 사옥을 각각 서울 마곡과 영등포로 옮긴다는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첨단사업단지와 연계, 새로운 업무거점 확보 등의 목적이 있지만 도심 오피스 임대료 상승에 따른 비용 감소 등이 속내에 담겨 있습니다. 
 
선별수주를 강화하는 추세도 눈에 띕니다. '돈 되는 사업장'에만 집중해 비용을 최소화하며 부채비율 등을 줄이겠다는 목적입니다. 최근 현대건설은 미착공 사업장 등을 정리하는 관련 TF를 사내 재무관리실에 신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도 PF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방침입니다. 
 
이처럼 건설사들은 부채비율을 줄이고 유동성을 확보하며 불황 시기를 타개할 내실 경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면서도, 부채비율이 어떤 경로로 증가했는지 꼼꼼히 살펴볼 필요도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단순히 부채비율이 아닌 세부적인 내용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신사업 추진이나 관련 자회사 매수 등으로 인해 증가한 부채 비율은 향후 수익전환이 가능하기에 크게 우려할 부분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채가 발생했지만 부채 상환 이자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면 그 부채를 현 시점에서 반드시 우려스럽다고 표현할 수는 없다. 결과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것"이라며 "다만 책임준공이나 자체 시행 사업의 미분양 증가로 늘어난 부채비율의 경우 당연히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 경우 부채비율의 철저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부도 등의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