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정부가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와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율 완화를 골자로 한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이후 수도권 아파트 매물이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세체계를 주택 수에서 가액 기준으로 전환함에 따라 다주택자의 종부세 부담이 줄어들어드는 등 매물 처분 압박이 완화된 까닭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종부세 관련 법안 처리도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어 시장 관망세는 더욱 짙어질 전망이다.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소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3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종부세 개편안이 발표됐던 지난달 21일 6만4046건에서 이달 21일 6만1475건으로 한 달 새 2571건(4.0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이 떨어진 수치다.
자치구별로는 종로와 용산구를 제외한 23개 구에서 매매 물량이 줄었다. 특히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3구의 낙폭이 컸다. 실제 서초구는 4239건에서 3814건으로 10.03% 급감했으며 송파구는 4219건에서 3932건으로 6.80% 줄었고, 강남구는 2.3% 떨어진 5242건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광진구와 영등포구는 각각 –8.35%, -7.68% 내린 1361건, 2777건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으로 범위를 넓혀 보면 인천 아파트 매물은 2만7269건에서 2만6372건으로 3.30% 감소했으며, 경기도는 12만3549건에서 2.7% 하락한 12만281건을 기록하는 등 수도권 전반적으로 내림세가 두드러졌다.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중과 폐지 등 세금 감면에 대한 기대감으로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회수한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세제 개편안을 통해 1가구 1주택자에 대해 올해 한시적으로 주택분 종부세 기본공제금액을 11억원에서 14억원으로 올리고, 이사 등의 목적으로 일시적 2주택자가 된 경우 1주택자 혜택을 주는 특례 조치를 내놨다.
(표=뉴스토마토)
이를 통해 부동산세제 정상화를 꾀한다는 목적이었다. 다주택자 입장에서는 주택 수로 중과했던 종부세 기준이 ‘가액’으로 바뀌고, 구간별 과세표준 세율을 낮춰 보유세가 완화됨에 따라 매도를 서두르지 않아도 된 것이다.
이에 반해 전월세 매물은 확대됐다. 서울의 경우 전·월세매물이 5만3807건으로 최근 한달 새 7.4% 늘었고 경기도는 6만55건에서 6만4455건으로 7.3%, 인천은 1만4768건에서 1만5572건으로 5.4% 증가했다.
시장에서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위 구성이 파행을 거듭하는 등 세제 개편이 국회 문턱을 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는 가운데 고금리와 인플레이션 등 아파트 시장을 둘러싼 대외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거래 감소와 하락거래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거래의 비율이 늘어나는 최근의 동향은 아파트 시장 침체기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지역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매수자 우위 시장 속에서 거래 감소와 하락거래 위주라는 현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