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노린 스미싱 우려…정부, 24시간 대응 체계 가동"
스미싱·피싱 피해 예방 위해 6대 보안 수칙 준수 당부
2025-09-28 12:00:00 2025-09-28 12:00:00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가 스미싱·피싱 등 사이버 사기 예방에 총력 대응합니다. 명절 특수를 노린 문자 결제 사기와 계정 탈취형 공격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경찰청 등 관계 부처는 28일 합동으로 사이버 사기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집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탐지된 문자 사기 388만건 가운데 공공기관 사칭이 53.4%로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올해 들어 소셜미디어나 전자상거래 계정을 탈취해 금전을 노리는 유형은 8월 기준 60만건에 달해 2023년 대비 250배 가까이 폭증했습니다. 
 
과기정통부 세종 청사. (사진=뉴스토마토)
 
추석을 전후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이나 쓰레기 무단 투기 과태료, 명절 선물 택배 조회 등으로 위장한 스미싱 문자 유포가 집중될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들뜬 명절 분위기와 택배·금융거래 증가를 노린 공격 수법이라는 점에서 국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입니다. 
 
정부는 연휴 기간 24시간 탐지 체계를 가동합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스미싱 확인 서비스와 118 상담센터를 운영하며,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사기 사이트를 긴급 차단할 방침입니다. 이동통신 3사도 전 국민에게 스미싱 주의 안내 문자를 발송합니다. 금융당국은 여신거래·비대면 계좌 개설 안심차단 서비스를 확대하고, 경찰은 사기 의심 계좌 조회와 지급정지 지원에 나섭니다. 
 
(자료=과기정통부)
 
아울러 정부는 6대 보안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출처 불명확한 URL·전화번호 클릭 금지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 및 공식 마켓 이용 △백신 설치·업데이트 △개인·금융정보 입력 거부 △상대방 확인 없는 금전 요구 거부 △주민등록증·여권 등 신분증 이미지는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말 것 등이 핵심입니다. 
 
만약 송금 피해가 발생하면 즉시 112에 신고하고 은행 콜센터를 통해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될 경우 거래 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계좌 일괄 지급정지를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의심 문자 수신 시에는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이나 118 상담센터를 활용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