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특혜 논란'에…정은경 "따가운 지적…일방적 정책 감안해야"
"수련협의체 통해 의견 모을 것…효율적·합리적 정상화 방안 찾겠다"
2025-07-22 19:00:15 2025-07-22 20:12:21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후보자 시절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중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의대생·전공의 특혜 논란'에 "굉장히 따가운 지적이 있다는 건 잘 알고 있고, 아마 의료인들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도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작된 일들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취임식 후 기자들과 만나 "2년 이상 의사 배출 공백이 생기면 환자들이나 국민의 입장에서도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며 "국민 눈높이로 신속하게 정상화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겠다"고 했습니다. 
 
정 장관은 취임 후 계획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자 한다"며 "가장 시급한 게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폭염 예방 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먼저 챙겨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의료 정상화가 시급한데 중증 ·희귀질환 환자분들의 연합회나 단체들, 의료계 인사를 만나는 등 의료 정상화 관련 현장 방문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수련시켜야 하는 병원, 수련을 받아야 하는 전공의, 먼저 복귀한 전공의도 있다"면서 "이런 수련 주체 간 의견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형태로 수련협의체를 통해 모으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복지부가 계속 준비를 해왔기 때문에 어떻게 (수련협의체를) 구성하고 회의할 것인지, 어떤 의제로 논의할 것인지 등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윤석열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대 요구안을 결정한 바 있습니다. 다만 환자단체는 전공의가 조건 없이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의 요구사항이 국민 눈높이에 맞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정 장관은 "필수의료 패키지, 의료 사고에 대한 부분은 이전 정부에서도 검토된 중요한 이슈다. 결국 의료인뿐 아니라 국민도 보호하는 부분"이라며 "이재명정부의 새로운 의료 정책을 담아 평가와 보완이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수련 정상화, 수련 연속성 보장 등 수련을 강화하는 부분들도 다르지 않다"며 "더 좋은 수련 체계를 만드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사직 전공의) 복귀에 대해서는 수련협의체를 통해 의견이 모아보고, 국민이 납득하거나 이해할 방안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습니다. 
 
의료계가 대화를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낸 것에 관해선 "의료 정상화를 빨리 이루고자 하는 열망을 담았다고 생각한다"며 "좀 더 긍정적인 자세로 같이 협의해 주시길 저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한 '기초연금 부부 감액 개선'에 대해선 "워낙 재원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대해 세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회 연금특위가 계속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국민·지역·기초연금을 다 포함한 구조개혁을 통해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방법이 논의될 것이라 생각한다. 복지부도 열심히 참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