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재 기자] 더블데이터 레이트(DDR)4 등 구형 D램의 단종 작업을 추진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아닉스가 차세대 모바일용 저전력 D램인 ‘로우 파워 더블 데이터레이트(LPDDR)6’의 시제품 출시에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최근 LPDDR6의 표준이 정해진 데 따른 것으로 양사의 D램 세대교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저전력 D램인 LPDDR5X 제품. (사진=삼성전자)
지난 9일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는 LPDDR6의 표준을 확정했습니다. JEDEC은 반도체의 크기와 사양 등 규격을 제정하는 곳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회원사 자격으로 LPDDR6 표준 확정에 함께 참여했습니다. PC와 서버에 들어가는 DDR과 달리, LPDDR은 저전력에 특화된 D램으로 이동성과 전력효율성이 중요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 주로 탑재됩니다. 또 고성능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면서 전력 소모에 민감한 차량용 반도체로도 활용됩니다.
LPDDR6는 전작보다 속도와 전력효율, 보안성 측면에서 크게 개선됐습니다. 테이터를 주고받는 통로를 확장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LPDDR6는 1초에 최대 14.4기가비이트(G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전 세대인 LPDDR5X 전송 속도 대비 50% 빨라진 것입니다. 전력 효율성은 이전 세대보다 더 낮은 전압과 저전력 소비가 가능한 전원을 활용합니다.
현재 인공지능(AI) 산업이 활발해지면서, LPDDR6의 수요도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과거 안정성이 더 중요해 일반 DDR을 주로 썼던 데이터센터 서버에도 전력 효율성을 위해 LPDDR을 활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차세대 메모리 모듈인 ‘소캠(SOCAMM)’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JEDEC로부터 LPDDR6 표준이 정해진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제품 출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빠르면 연내 LPDDR6 시제품이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보통 표준 제정은 제품 개발과 함께 이뤄집니다. 때문에 확정이 될 경우 비교적 빠른 생산이 가능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말부터 DDR4와 LPDDR4 등 범용 D램의 생산 중단을 위해 단계적으로 감산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고부가 제품인 DDR5와 LPDDR5의 생산량 집중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차세대 상품인 LPDDR6가 상용화된다면, 이러한 세대교체 작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다만, DDR6 표준 규격은 아직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나가시마 오사무 JEDEC 저전력 메모리 소위원회 부의장은 “LPDDR6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AI 컴퓨팅, 클라이언트 컴퓨터, 데이터 센터 및 자동차와 같은 다른 많은 컴퓨팅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