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산업결산)위기의 자동차업계, 내년에도 안갯속
한국지엠, 법정관리 직전까지 몰려…수입차, 올해 연간판매 신기록
2018-12-28 06:00:00 2018-12-28 06:00:00
[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올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법정관리 위기', '어닝쇼크' 등 다사다난한 시기를 보냈다. 반면, 수입차 업계는 역대 최고 실적을 새로 쓰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동반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특히 한국지엠은 올 초부터 연말까지 계속 이슈가 이어지면서 경영정상화에 대한 의문이 지속됐다. 한국지엠은 지난 2월13일 군산공장 폐쇄방안을 기습적으로 발표했다.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은 "군산공장 가동률은 20%에 불과하며, 지난 몇 년 동안 손실을 기록했던 경영 실적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군산공장 폐쇄가 향후 국내 철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해졌고 노사 간 격렬한 대립 속에 한국지엠은 법정관리 신청 직전까지 몰렸다. 지난 4월말 극적으로 노사가 경영정상화 방안에 합의하면서 법정관리 위기를 넘겼지만 7월부터 법인분리 문제로 다시 대립했다. 사측이 지난 10월19일 임시 주주총회를 강행하자 한국지엠의 2대주주인 산업은행이 가처분 신청을 하고 노조도 총파업을 불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는 등 다시 혼돈 속에 빠지기도 했다.
 
부정적인 이슈가 일년 내내 지속되면서 한국지엠은 브랜드 신뢰도에 타격을 입었다. 한국지엠의 11월까지 누적 내수판매는 8만2889대로 전년 동기 대비 31.2%나 감소했고 내수 3위 자리는 쌍용자동차에 뺏겼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쉽지 않은 시기를 보냈다. 지난 3월말 야심차게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했지만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이 지분 23.29%를 보유해 최대 주주인 현대글로비스에 유리하게 합병비율이 산정됐다는 비판 등이 제기됐다. 게다가 세계 양대 의결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와 ISS가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의 분할합병안에 반대를 권고했고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도 반대 의사를 나타내면서 결국 지배구조 개편안은 좌초됐다. 
 
정 부회장이 올해 수 차례 미국, 중국 등 글로벌 핵심시장에 출장길을 떠났지만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광주형 일자리 사안이 지지부진한 점도 고민거리다. 현대차는 올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6% 급감한 2889억원을 기록해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다. 현대차는 2015년 연간 영업이익 6조3579억원, 2016년 5조1935억원, 2017년 4조5747억원으로 매년 1조원 전후로 감소세를 보였고 올해는 3분기 어닝쇼크 등의 영향으로 연간 영업이익 규모는 3조원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업계의 위기감이 가시화되자 정부는 지난달 14일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를 개최해 완성차 및 부품 업계의 의견을 수렴했고 지난 18일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완성차 생산량이 감소하자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으면서 위기 상황에 놓였다. 정부는 유동성을 겪는 부품 업체들에 3조5000억원 규모 자금지원을 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2015년 456만대에서 2016년 423만대, 2017년 411만대로 감소했고 올해는 400만대 수준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위기는 그동안 내재됐던 문제가 현실화된 것"이라며 "내년에도 위기를 극복할만한 요인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수입차 업계는 올해 벤츠를 중심으로 판매가 확대되면서 역대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사진/벤츠코리아
 
반면에 수입차 업계는 올해 훨훨 날았다. 수입차의 11월까지 누적 판매는 24만255대로 전년 동기(21만2660대)보다 13.0% 증가했다. 역대 수입차 연간 최고 실적인 2015년 24만3900대와는 불과 3645대에 불과해 이달 판매량이 더해진다면 26만대 돌파가 확실시된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는 11월까지 6만4325대를 판매해 연간 7만대 돌파가 목전에 다가왔다. 디젤게이트로 2년 동안 국내 시장을 떠났던 폭스바겐과 아우디도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두 브랜드 모두 지난 4월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지만 파격적인 할인 정책으로 올해 누적 판매는 폭스바겐 1만4282대, 아우디 1만1893대로 모두 1만대를 넘겼다. 그 외에 고급 브랜드로 꼽히는 포르쉐는 4066대, 롤스로이스는 108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6.6%, 36.7% 증가했다. 
 
한편, BMW 차량의 주행 중 화재 사고도 올 하반기 뜨거운 이슈였다. 40차례가 넘는 화재가 이어지면서 BMW는 10만6317대를 리콜한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과정에서 일부 BMW 차량이 리콜 대상 차량과 동일한 엔진과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6만5763대가 추가돼 총 17만2080대로 늘었다. 
 
게다가 민관합동조사단에서 화재 원인으로 EGR 설계결함을 지목했고 BMW 측의 결함은폐 및 축소, 늑장리콜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다수 확보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BMW를 검찰에 고발하고 과징금 112억원을 부과했다. BMW 사태는 앞으로 치열한 소송전이 예상되지만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으면서 예전 수준의 판매량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BMW는 올해 화재 사태로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사진/뉴시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