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재영 기자] 주택 체감경기가 예사롭지 않다. 각종 건설 관련 경기 전망지수가 수직 낙하 중이다. 업체들은 수시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고 있다. 업계는 부동산 수요억제 및 대출제한 등 전방위적 규제가 시장 심리를 얼어붙게 만들었다며 침체가 극심한 지방은 살리는 등 선별적인 정책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건설사들이 주택 경기를 가늠할 때 기준으로 삼는 지표는 미분양이다. 업계는 과거 데이터에 비춰 미분양이 월 6만호를 넘어서면 경기가 꺾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전국 미분양은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매달 6만호 이상을 기록했다. 매년 한두달 정도 6만호를 넘어선 경우도 있으나, 올해처럼 5개월째 고착화된 양상은 드물다.
연초에 비하면 전국 미분양은 6% 정도 늘어나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율이 30%에 육박한다. 국내외 수주 상황도 좋지 않아 업계 체감경기는 이미 바닥권에 가깝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수주잔고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라며 “딱 내년까지 버티고 (건설업이)죽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각종 건설 경기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사진은 한 건설 공사 현장. 사진/뉴시스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HBSI),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등 각종 지표도 일제히 하락세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중과세에 이어 지난 10월말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전면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등 정책 여파로 풀이된다. 정부가 청약제도를 개편해 무주택자 외 수요억제에도 나서면서 분양시장 표정도 어둡다. 업계 관계자는 “무주택자 수요가 늘어 청약인기가 시들진 않을 것으로 봤으나, 대출이 막힌 부담으로 현금이 부족한 무주택자의 미계약이 속출하는 등 실수요 타격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분양대행사들이 사업 건건이 입찰하며 치열하게 경쟁하는데 일감이 줄어들면 특히 타격이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북 철도 경협사업이나 GTX 신규 노선 설치, 3기 신도시 공급 등 호재도 있으나 착공까지 오래 걸리는 만큼 당장 내후년 ‘경기 절벽’을 걱정하는 업계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특히 경기부진이 극명한 지방에서 일감이 많은 중견건설사나 관련 하도급 전문건설업체들의 우려가 짙을 수밖에 없다. 전문건설업계 관계자는 “전방위적 규제는 시장 초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며 “수도권이나 광역시와 크게 다른 지방 상황을 이해하고 선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재영 기자 leealiv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