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농업' 스마트팜 확산 나선다
토지·노동의존적 전통 농업 방식 탈피
2015-10-13 14:43:40 2015-10-13 14:43:40
정부가 '스마트온실' '스마트과수원' '스마트축사' 등 스마트폰이나 개인용 컴퓨터(PC)로 언제 어디서나 작물과 가축을 키울 수 있는 '스마트팜' 확산에 나선다.
 
1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경쟁력 제고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스마트팜 확산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농장이다. 노동력과 에너지, 양분 등을 기존 관리 방식보다 덜 투입하고도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동안 우리 농업은 대외적으로는 시장 개방, 내부적으로는 농촌 고령화와 일손 부족, 겨울철 긴 농한기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에 토지·노동의존적인 전통 농업 방식으로는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스마트팜 확산을 통해 농업의 약점을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참외·수박·파프리카·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시설원예 분야를 오는 2017년까지 현대화한 온실면적(1만500㏊)의 40% 수준인 4000㏊를 스마트 온실로 바꾸기로 했다.
 
축산 분야에서는 내년부터 젖소·한우 등 대가축의 생산성 향상에 핵심이 되는 로봇착유기와 자동포유기 등을 일괄 지원하는 스마트축사를 도입할 계획이다. 2017년까지 전업농의 10% 수준인 700호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아직 보급 초기 단계인 노지 스마트팜 사업화는 대규모 과수원을 중심으로 추진해 2017년까지 600여개 농가로 확산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수출재배단지 ICT 융복합 첨단온실 지원 예산을 올해 246억원에서 내년 454억원으로 늘리는 등 예산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스마트팜 전문인력 육성, 농가 실습교육, 사후관리 등을 통해 스마트팜 운영 농가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현장 지원도 강화한다. 2017년까지 ICT 전문 농업인 8000명, 현장 스마트팜 지도인력 200명, 전문 컨설턴트 12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스마트 팜의 신속한 현장 확산과 시장 확대를 통해 농업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ICT 연관 산업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분야 일자리 창출과 해외시장 진출 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스마트팜 시스템이 설치된 비닐하우스. 사진/뉴시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