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한승기자] 현재 시범사업중인 '와이파이(Wi-Fi) 공용화 사업' 확대 여부는 아직 미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와이파이 공용화 사업에 대해 지금은 시범사업으로 사업확대 여부는 시범사업 완료 후 판단해야 할 문제라며 지금 판단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와이파이 공용화 사업은 이동통신 3사별로 나눠서 사용하고 있는 와이파이 존을 공항·철도·버스터미널·관공서 등 공공장소에 공동구축하는 사업으로 올 상반기까지 1000여개를 구축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현재 250여곳의 공공장소에 와이파이존을 구축했다"며 "해당장소의 미동의 등 현장에서의 어려움이 있어 공용화 사업의 진행이 원래 계획보다 조금 더뎌졌지만 남은 기간 동안 각 이통사가 분담해 구축한 후 다른 이통사에게 열어주는 방법 등을 통해 올 상반기 내에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재 전국에 3사 누적해 22만여개의 와이파이존이 있는데 1000개면 사실 많은 것은 아니다"며 "사업확장 여부는 경제적인 효율성과 품질상태 등을 고려해 신중히 판단해야 할 문제로 지금 어떻게 하겠다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방통위는 이 사업에 대해 전파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이용자 편익 확대 등을 이유로 긍정적으로 바라봤지만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거나 트래픽이 몰려 와이파이의 품질저하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트래픽 양에 관계없이 한 장소에 3사 모두 설치하던 와이파이를 하나로 공용화하기 때문에 경제적 효율성이나 주파수 간섭 방지 등 장점이 있지만, 보안문제도 있고 효율성이 보장되지 않을 가능성 등 실효성에 대해서는 탁상공론이라는 의견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하지만 현재는 와이파이가 없는 공공장소에 새롭게 설치해 공용화하겠다는 것이므로 정부가 하면 따라가야 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다른 이통사 관계자는 "와이파이 공용화는 수익적인 측면에서 이통사에 이득이 없지만, 공익을 위한 것인데다 중복투자 등의 문제 해결과 고객에 대한 홍보도 가능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방통위에서는 무선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나고 롱텀에볼루션(LTE)의 등장과 함께 데이터 무제한이 폐지된 상황에서 와이파이가 트래픽 분산과 속도 저하 등에 대한 대안이 되고 공용화가 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