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현대제철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01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수치입니다.
충남 당진에 위치한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사진=현대제철)
24일 현대제철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5조9456억원, 영업이익은 101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줄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6.9% 늘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로는 흑자 전환입니다. 현대제철은 이번 2분기 흑자 전환 배경으로 제품 판매 증가와 원료 가격 하락, 자회사 실적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제철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철강 시황이 수요 위축 등으로 다소 부진했지만, 하반기는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현대제철 측은 “글로벌 철강 시황은 상반기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했으나, 하반기 중국의 철강 감산 및 경기 부양책 시행 등으로 개선이 기대된다”며 “저가 철강재 국내 유입량 감소, 정부의 경기 부양책 시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습니다.
현대제철은 하반기에도 이러한 흑자 기조를 이어가기 위해 수요 기반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입니다. 우선 현대제철은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투자와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린다는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현대제철은 현재 내년 1분기 탄소저감 제품 양산을 목표로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복합 프로세스 생산 체제가 구축되면 탄소저감 강판 생산이 가능해져, 신규 고객 확보가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현대제철은 올해 상반기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열처리 설비 개조 등을 통해 3세대 강판 생산체제를 구축해 고부가 자동차 강판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세대 강판은 고성형성과 고강도를 동시에 구현한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소재로, 현재 국내외 주요 고객사의 제품에 적용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해외 완성차사를 겨냥한 마케팅도 한층 강화해 글로벌 자동차 강판 판매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해외 고객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탄소저감 제품 생산 기술력과 복합 프로세스 공정의 경쟁력을 앞세워 유럽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투자와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