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와 함께 재생에너지의 실효성을 두고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AI 등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원자력발전도 활용해야 하나, 궁극적으로는 재생에너지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사진=뉴시스)
18일 열린 대통령선거 경제 분야 토론회의 주도권 토론에서 이준석 후보가 이재명 후보의 공약인 풍력발전 기반 데이터센터 건립 구상을 놓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풍력은 안정적 전력을 요구하는 데이터센터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풍력발전은 태풍 시 가동이 중단되고 제조와 운용, 금융 등 산업 전반이 중국을 비롯한 외국에 종속 돼 있다"며 "결국 영광 원전이나 여수 화력발전소 등 타 지역 전력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준석 후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중국의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거론했는데요. 그는 "전력 단가도 높고, 중국 의존도가 큰 풍력발전에 왜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는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자꾸 저를 친중으로 몰아가려고 하는 것 같은데, 부적절하다"고 반박하며 "현재 글로벌 데이터 센터들은 기본적으로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이 표준"이라고 대응했습니다.
이어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은 있지만,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해 보안하고 기저 전력과 병행해 운영하면 충분히 가능하다"며 "불가능하다고 단정하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문수 후보는 재생에너지보다 원자력발전이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향해 "두산 에너빌리티나 원전에 가서 얼마나 안전한지 현장을 가봤나"라고 물었습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꼭 가봐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응수했습니다.
김 후보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펼쳤던 '탈원전' 정책을 하려는 것이냐"고 물으며 "잘 관리되는 원전은 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안전하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왜 났고, 체르노빌은 왜 사고가 났나. 영원히 안전할 것이라는 보장은 어떻게 보장하느냐"고 맞받아쳤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지금 당장 안전해 보일 수 있어도 폐기물 처리 문제가 해결 안 되고 있고 두 가지 문제 때문에 안전한 재생에너지를 가되 그 사이에 재생에너지를 섞어서 쓰자는 것. 즉 '에너지 믹스'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밖에도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의 주도권 토론에서는 '차별금지법'과 관련한 토론이 이어졌는데요. 권 후보는 과거 김대중·노무현·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약속을 거론하면서 "이 후보는 차별금지법 제정에 동의하나"라고 물으며 "강산이 이제 3번이나 바꼈는데, 이재명 후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차별금지법과 관련해 차별이 생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현안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이것으로 새롭게 논쟁과 갈등을 이어가면 당장 할 일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자 권 후보는 "그렇게 하면 영원히 못할 것 같다"고 이 후보를 비판했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