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명신·박창욱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내 최대 해운사 HMM의 부산 이전을 공언한 가운데 HMM육상노조 측은 해당 이슈와 관련해 “논의가 없었다”고 답변했습니다. 이는 HMM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말한 이 후보의 발언과 배치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4일 부산 부산진구 서면에서 열린 유세에서 부산 해양수도를 위한 공약에 서명한 뒤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업계에 따르면 HMM 노조 측은 직원들에게 이 후보의 HMM 부산 이전과 관련해 논의된 바가 없다는 내용의 메일을 보냈습니다. HMM육상노조 관계자는 “HMM 사내 육상노조와 해상노조 모두 이와 관련해 논의된 바 자체가 없다”라며 “사실 확인을 위해 직원들에게 메일을 발송했다”고 전했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HMM의 직원 수는 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해 1890명입니다. 이 가운데 육상직은 1063명, 해상직은 827명으로 노조는 업무 특성에 따라 서울 사무직 중심의 HMM육상노조(민주노총)와 HMM해원연합노조(한국노총)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 유세 중 “민간 회사라 쉽지 않지만, 정부 출자지분이 있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가장 큰 해운 회사 HMM이 부산으로 옮겨오도록 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HMM의 1대 주주는 산업은행이고, 2대 주주는 해양수산부 산하의 해양진흥공사입니다. 둘의 합산 지분율은 67%로, 정부 출자지분이 과반을 차지합니다.
이어 이 후보는 “회사를 옮기는 데 가장 큰 장애는 회사 직원들인데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하더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공진완 HMM 해상노조부위원장과 부산 이전과 관련해 정책 제안 퍼포먼스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HMM육상노조 측은 HMM 부산 이전과 관련해 논의가 없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HMM육상노조 관계자는 “부산 이전에 대해 찬반 입장을 가릴 것도 없이 두 노조가 이와 관련한 안내나 논의도 진행이 안 된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부산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세부적인 사안들을 다 따져봐야 하는데, 단순 협약의 개념이라 효력이 있지도 않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전에도 HMM해상노조는 HMM 본사의 부산 이전과 관련해 여러 차례 언급을 해왔습니다. 지난해 4월에는 해상노조가 HMM 본사와 논의 없이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 이전 관련해 토론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본사 이전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민주당 측은 HMM 부산 이전과 관련해 향후 소통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조승래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어제 이뤄진 정책 제안 퍼포먼스는 개인 자격으로 진행된 게 아닌 다수 노조에서 흔쾌히 동의할 수 있다는 의견을 표출한 것”이라며 “이 자체로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전 규모 등 세부적인 내용들은 향후 더 논의해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명신·박창욱 기자 si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