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19:03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국산 CSP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민간 시장은 이미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필두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간의 치열한 경쟁 구도로 재편된 상황이다. 공공 시장에서도 KT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국내 CSP들이 삼파전을 이어가고 있었으나 최근 AWS가 클라우드서비스보안인증제도(CSAP)를 획득하면서 공공기관 시장 진출 길도 열렸다. 이에 <IB토마토>는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의 사업 현황을 짚고 이들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생존 전략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IB토마토 이조은 기자]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클라우드서비스보안인증제도(CSAP)를 획득하면서 글로벌 3대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가 모두 국내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미 글로벌 CSP들이 민간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 국내 공공 부문은 그나마 국산 CSP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최후의 보루였다. 그러나 이마저도 위협받으면서 국내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을 넘어 자생적 경쟁력 확보가 시급해졌다.
AWS 전경 (사진=AWS)
공공시장 진입 허들 낮아진 글로벌 CSP
11일 업계에 따르면 AWS는 최근 CSAP '하' 등급을 획득했다. 가장 낮은 등급이지만 국내 공공 부문 클라우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필수 요건을 갖추게 됐다. AWS에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Azure)와 구글 클라우드(GCP)도 각각 지난해 말과 올해 초 '하'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이로써 글로벌 CSP '빅3' 모두가 국내 공공시장 진입 자격을 갖추게 된 셈이다.
CSAP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는 인증 제도로 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안성이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됐다. 기존에는 높은 보안 기준으로 인해 글로벌 CSP들의 진입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인증 체계가 상·중·하 3단계로 세분화되면서 일정 수준의 보안 요건만 충족해도 '하' 등급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연합체인 BSA는 최근 국내 정부에 '중'·'상' 등급 인증도 글로벌 기업에 개방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하' 등급은 개인정보가 없는 공개 데이터 운영 시스템만 대상으로 하나 '중' 등급은 업무자료를 포함한 내부 시스템, '상' 등급은 국가 안보나 외교 관련 시스템으로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KISA 관계자는 <IB토마토>와 인터뷰에서 "과학기술정통부는 클라우드 시장 전반의 활성화와 보안성을 고려해 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를 도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는 국내·외 기업 무관하게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급별 보안 요건을 만족하면 인증 획득이 가능하며 별도의 지침은 없다"라고 말했다.
(사진=과학기술정통부)
민간시장 잠식에 이어 공공시장도 위협
국내 민간 클라우드 시장은 이미 글로벌 CSP들의 각축장이 된 지 오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AWS(60.2%), MS 애저(24.0%), 구글 GCP(19.9%)이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NAVER(035420))클라우드가 20.5%로 근소한 차이로 구글보다 소폭 앞섰지만 오라클(8.2%),
KT(030200)(8.2%),
NHN(181710)(7.0%),
삼성에스디에스(018260)(1.2%) 등 국산 CSP는 전반적으로 열세에 있다.
주 이용 클라우드 사업자 비중도 AWS가 51.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이어 네이버클라우드(11.7%), 구글 GCP(8.8%), MS 애저(8.2%) 순이었다. 국산 CSP 중 KT는 5.3%, NHN은 2.3%, 삼성SDS는 0.6%에 그쳤다. '서비스 품질 우수성'이 클라우드 사업자 선택 이유의 41.5%를 차지한 만큼 기술력 측면에서 글로벌 CSP와의 격차가 국내 업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 AI 컴퓨팅센터 등 클라우드 지원 확대
정부는 공공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기업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오는 5월19일부터 사업계획서 접수를 시작하며, 총 사업비는 최대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51%는 공공 자원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는 클라우드 기반의 'AI 바우처 지원 사업', 유망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 육성 사업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IB토마토>와 통화에서 "글로벌 기업에서 CSAP 인증을 받는 것의 경우 통상 이슈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만들기는 어렵다"라며 "다만 현재 국내 기업들을 위해 AI 기업 협업 사업, 클라우드 생태계 관련 사업 등 클라우드 사업자들 역량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사업들을 다수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조은 기자 joy828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