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총 125조2000억원을 투입합니다. 이는 최근 5년(89조1000억원)보다 40% 이상 늘어난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로, AI·로봇 등 미래 신사업과 모빌리티 연구개발(R&D), 국내 생산설비 효율화 등 3대 분야에 집중될 예정입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관련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러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현대차·기아의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한 대미 관세 비용을 전액 그룹이 부담하는 상생안과 국내 주요 생산거점 확충 계획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의 125조2000억원 투자는 직전 5년( 89조1000억원 ) 대비 36조1000억원 증가한 역대 최고액입니다. 투자 분야별 비중은 미래 신사업 50조5000억원, 모빌리티 R&D 38조5000억원, 경상투자 36조2000억원입니다.
정의선 회장은 “이번 국내 투자의 핵심은 국내 AI·로봇 산업의 육성, 그린에너지 생태계의 발전”이라며 “이를 통해 미래 기술 발전과 지역경재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내년 고용 계획에 대해서는 “금년 7200명을 채용했는데, 내년에는 1만 명 채용을 목표로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총투자액의 40%를 AI 자율주행, AI 자율제조, 로보틱스, 전동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수소에너지 등 미래 신사업에 집중합니다.
또한 AI·로봇·디지털 트윈(DT)을 결합한 미래 AI 자율제조 기술 개발과 SDV 전환도 본격화합니다. 내년 하반기에는 중앙집중형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카’(시험차)를 공개하고, 기술 검증 이후 양산차 적용 확대를 추진합니다.
현대차는 피지컬 AI 개발을 위한 고전력 AI 데이터센터, AI 어플리케이션 센터, 로봇 완성품 제조 및 파운드리 공장을 각각 설립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저장→로봇 실증→제조로 이어지는 피지컬 AI 밸류체인을 갖추겠다는 구상입니다.
또 서남권에 1기가와트(GW) 규모의 양성자 교환막(PEM) 수전해 플랜트를 구축하고, 국내 수소 출하센터·충전소 인프라도 확충합니다. PEM 수전해기 및 수소연료전지 부품 제조시설도 마련해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며, 정부·지자체와 협의해 ‘수소 AI 신도시’ 조성도 검토합니다.
R&D 분야에는 38조5000억원이 투입되며, 후륜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과 지역 전략형 차량 및 핵심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경상투자 36조2000억원은 국내 생산설비 효율화, 제조기술 혁신, 고객 서비스 거점 확충에 사용됩니다.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도 서울시 인허가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본격 착공에 들어갑니다.
협력사 상생안도 발표됐습니다.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부담한 대미 관세를 전액 지원하고, 상생협력 프로그램 대상을 5000여개의 2~3차 협력사까지 확대합니다. 1차 협력사가 부담한 관세는 매입단가에 반영해 소급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협력사의 운영자금 확보·유동성 개선, 미래 모빌리티 부품 투자 확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현대차그룹은 동남권(울산·창원), 서남권(광주·전주), 중부권(아산·진천·서산·충주·천안), 대경권(대구·경주·김천), 경기권(화성·광명·평택) 등 전국에 주요 생산기지를 두고 있으며, 향후 5년간 수십 종의 신차 투입을 위한 라인 고도화를 지속합니다.
신규 공장도 잇따라 들어섭니다. 내년에는 현대차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이 준공되고,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도 건설 중입니다. 기아도 화성에서 PBV 전용 전기차 거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완성차 수출을 지난해 218만대에서 2030년 247만대로 늘리고, 전동화 차량 수출은 지난해 69만대에서 2030년 176만대로 2.5배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대제철은 충남 당진제철소에 LNG 자가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고로 효율 향상을 위해 수천억원을 투자합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