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한미 관세·안보 분야 협상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의 후속 조치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일제히 대규모 국내 투자와 고용 확대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향후 대미 투자 증가로 국내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선제적으로 불식시키는 메시지를 내놓은 셈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재명 대통령,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관련 민관 합동회의에서 “매우 어려운 과정이었으나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를 거뒀다.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동시에 “혹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걱정을 하지 않도록 여러분이 잘 조치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당부했습니다.
대기업 총수들은 각사에 맞는 국내 투자 규모·고용 확대·신산업 육성 계획을 제시하며 대통령의 요청에 화답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국내 산업투자와 관련한 우려가 일부 있겠지만 그런 일이 없게 하겠다”며 “삼성은 투자 확대 및 청년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과의 상생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지난 9월에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6만명을 국내에서 고용하겠다”며 “연구개발(R&D)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도 더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국내 투자와 고용을 더 적극적으로 진행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기존 2028년까지 128조원 규모로 계획했던 국내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매년 “매년 8000명 이상의 채용을 꾸준히 유지해 왔는데, (향후) 매년 1만4000∼2만명의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국내에서 향후 5년간 연간 25조원씩 총 125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라며 “지난해 계획했던 것보다 증가한 금액”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올해 7200명 수준이던 국내 채용도 내년 1만명으로 확대하고,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로 수출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고 했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대통령, 최태원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사진=연합뉴스)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정부 요청에 발맞춰 향후 5년간 100조원의 국내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이 중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에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화그룹은 이번 협상에서 주목받은 조선·방산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여승주 부회장은 “우선 미국 필리조선소에 7조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미국 조선시장에 대한 투자는 국내 조선산업과 기자재 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뜻도 된다”고 했습니다. 그는 국내에서도 “향후 5년간 조선·방산 부문에 11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향후 5년 내 국내에 15조원을 투자할 계획을 제시하며, 에너지·AI·기계로봇 분야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각각 배정하겠다고 했습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 확대 계획을 소개하며 “현재 스타트업들과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는데 이를 1조원까지 규모를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