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병남 기자] 신용카드사의 자금 조달수단인 여신전문금융회사채 금리가 4%를 돌파했다. 카드사들은 카드장기대출(카드론) 판매 촉진를 위해 우대금리를 높여 대출 금리 인상을 방어해 왔지만, 출혈경쟁을 계속하기는 힘들다고 토로하고 있다. 금리 인상기에도 대출 유치를 위해 카드론 금리를 조정하지 않았으나, 조만간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여전채(AA+·민평평균) 금리는 연 4.012%를 기록했다. 다음날인 8일 연 3.980%로 소폭 낮아졌지만, 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말 3.7% 선을 유지하던 여전채 금리는 불과 일주일 사이에 0.3%p 뛰어올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여전채 금리는 지난해 11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연 1.582%였던 금리는 올 3월에는 3% 선으로 올라서 2014년 6월 이후 가장 높았다. 4% 금리를 기록한 것은 2012년 3월 이후 10년3개월 만이다.
시장에선 여전채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인플레이션 등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어서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9일 오는 14~15일(현지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0.5%p 기준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란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오르는 조달비용에도 카드사들은 그간 카드론 금리를 평균 13% 선을 유지해왔다. 조정금리(우대금리+특별할인금리)를 높여 대출 금리 인상을 막아왔다. 지난달 비씨카드를 제외한 7개 전업카드사의 조정금리 평균은 1.87%로 전월(1.71%)보다 0.16%p 올랐다. 1월 1.17%과 비교하면 0.70%p 높아졌다. 이는 고객 확대를 위한 것으로 조정금리 인상은 카드사가 들이는 마케팅 비용이 그만큼 증가했다는 뜻이다.
정부 가계대출 규제와 중금리대출 시장 확대로 카드론을 둘러싼 고객 쟁탈전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카드론은 올해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포함됐지만, 2금융권에는 1금융(40%)과 달리 DSR 50%가 적용됐다. 이런 배경에서 최근 대출 여력이 있는 고신용자 고객 수요가 늘었으나, 주요 고객인 중·저신용자들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취급하는 중금리대출 시장으로 이탈이 커졌다.
결국 전반적인 수요가 줄었다는 게 카드사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실제 카드사의 1분기 카드론 취급 총액은 약 1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들은 수신기능이 없어 대출 자금의 약 70% 여전채에 의존하는 만큼 조달비용 증가에 따라 향후 카드론 등 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 또 오는 7월부터는 1억원(직전 2억원)을 초과하는 금융권 대출을 보유한 차주에게 DSR 규제가 적용된다. 대출 수요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출혈 경쟁에도 신규 취급 확대는 불투명할 것이란 분위기가 업권 내에 팽배하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최근까지는 이미 조달한 채권을 바탕으로 대출을 취급했기에 카드론에 시장금리 인상분 반영이 적어 일정 금리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면서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한 금리 정책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표=뉴스토마토)
신병남 기자 fellsic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