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재 기자] 인공지능(AI) 시대 가속화에 따른 메모리 초호황 시기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시장 선점을 위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HBM4 제품. (사진=SK하이닉스)
3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날부터 15일까지 경력직 채용 홈페이지 ‘10월 월간 하이닉스 탤런트’를 통해 경력사원 채용 원서를 접수받습니다. 모집 분야는 고대역폭메모리(HBM) 회로 설계, 설계 검증, 설루션 설계 등 10개 직무입니다.
합격자는 경기 이천·분당 캠퍼스에서 근무하게 되며, 채용 규모는 두 자릿수로 전해집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경력 채용에서 설계 분야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할 예정입니다. AI 모델이 요구되는 시장 환경에서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역량을 결합한 솔루션 제공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AI 서버와 모바일·자율주행·로봇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최적화된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우수한 설계 인력을 채용할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는 경력직뿐만 아니라 신입 채용 절차도 병행 중입니다. 설계와 소자, 연구개발(R&D) 공정, 양산 기술 등 직무에서 세 자릿수 규모로 채용합니다.
삼성전자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삼성전자는 오는 25일 삼성직무적성검사(GSAT)를 치른 뒤 면접 등의 절차가 이어집니다. 합격자들은 내년 상반기 입사한 뒤 각 사업부에 배치돼 공정 개발과 회로 설계 등의 직무를 담당하게 될 예정입니다.
AI 시대로 HBM을 비롯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 업황은 향후 2∼3년간 성장 국면에 유지할 전망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메모리 슈퍼사이클’이란 보고서를 통해 “HBM을 둘러싼 기회가 업계 성장률을 앞서고 있고 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 덕분에 일반 메모리칩의 가격 변동률이 다시 가속하고 있다”며 업황의 정점 시점을 오는 2027년으로 예측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