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에도 밀어붙인 '트럼프식 거래'…막판 난제는 수두룩
선 발표-후 논의 골자…세부 사안 조율 난항 예상
2025-10-09 17:08:45 2025-10-09 19:38:38
[뉴스토마토 차철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 발표-후 협상'을 골자로 하는 '트럼프식 거래'를 가자지구 중재안에도 밀어붙였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평화 구상 1단계를 전격 합의하며 휴전에 협정에 물꼬를 텄는데요. 다만 막판까지 해결해야 할 난제는 수두룩합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보장 방안 달성 등 세부 사안 조율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2년 전쟁 종식 첫걸음…곧 인질 석방 
 
9일 외신에 따르면 2년간 전쟁을 벌여온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8일(현지시간) 휴전 협정 1단계에 합의, 가자지구 전쟁을 멈췄습니다. 미국 등 국가의 중재로 이뤄진 이번 합의는 가자 평화 구상의 첫 단계입니다. 

지난 2023년 10월7일 하마스의 대규모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이번 전쟁으로 장기간 이어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종식될 자리가 마련된 겁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된 선'까지 군대를 철수한다고 언급했는데요. 합의된 선이란 '이스라엘군의 1단계 철수선'을 의미합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신의 도움으로 우리는 그들을 모두 집으로 데려오겠다"고 밝혔는데요. 하마스 측도 성명을 통해 "전쟁 종식과 인도적 지원을 허용하며, 수감자 교환을 하는 포괄적 합의가 이뤄졌다"고 알렸습니다. 
 
인질 석방은 이르면 오는 13일부터 이뤄질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AP통신>은 하마스 측이 이르면 생존 인질 20명을 모두 석방, 이스라엘군도 가자지구 지역에서 철수할 것으로 보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뉴시스)
 
전문가 "장기적 이행 여부 불확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가자 평화 구상'을 통해 △인질과 구금자 석방 △하마스 무장해제 △이스라엘의 단계적 철군 △가자지구 전후 통치 체제 등을 담은 내용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에도 선 발표-후 협상을 골자로 하는 '트럼프식 거래 협상'이 적용됐습니다. 관련 내용을 먼저 합의한 뒤 세부 사항은 추후 논의하자는 것으로,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협상과 비슷한 상황인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중재를 자신의 대외적 외교 성과로 내세우며 '피스 메이커(평화 중재자)'로 나서고 있는데요. 하지만 휴전 협상 돌입에도 완전 종전까진 풀어야 할 난제가 가득합니다. 특히 평화 구상 2단계 국면에선 하마스 무장 해제를 통해 이스라엘군 완전 철수가 실시될 계획으로 전해지는데요. 하마스 측에선 미국과 이스라엘이 요구한 무장 해제에 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하마스 입장에서 무장해제는 사실상 항복 요구로 휴전 이후 군사적 균형에 대한 의견이 갈립니다. 
 
통치 주체, 인도적 지원 통로와, 전후 복구 비용 분담 측면 등 협상도 난항을 겪을 예정입니다. 미국 측에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복귀를, 이스라엘은 안보 통제 강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수 아랍 국가는 국제 공동관리 체제를 선호합니다. 이스라엘 측이 하마스의 전쟁 재개 중단 요구도 수용할지가 관건입니다. 이스라엘 내부에선 여전히 하마스 완전 섬멸을 요구하는 강경파의 목소리가 표출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식 협상 방식으로 이번 중재 역시 불확실성이 남아 장기적 이행으로 이어질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관측했는데요.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이날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이번 1단계 합의는 총론에 가까워서 세부 조율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하다"며 "이스라엘이 약속을 지킬지, 하마스가 이를 신뢰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의지가 강한 만큼 당사국들이 쉽게 판을 깨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철군 이행과 무장 해제 등 현실적 난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재환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트럼프식 협상은 일단 큰 틀의 합의를 내세운 뒤, 이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는 방식"이라며 "그는 이 방식을 '유연성'으로 보겠지만, 상대 입장에선 불확실성이 크고 언제든 합의가 바뀔 수 있는 구조"라고 진단했습니다. 

차철우 기자 chamato@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