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증권 염블리 사칭 리딩방, 개인정보까지 보내며 속였다
가짜 홈페이지·금융당국까지 언급하며 속여…1억8천만원 피해
입금 요구 땐 사기 신호…공식 채널 확인과 신고 필요
2025-10-09 10:28:47 2025-10-09 10:28:47
[뉴스토마토 김주하 기자] 유명 증권사 직원을 사칭한 투자사기가 단순 리딩방을 넘어 가짜 증권사 홈페이지, AI영상, 자필 서류까지 동원되는 수준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실제 증권사에서 온 것처럼 꾸민 광고 메시지로 A씨를 유인한 뒤, 금융당국까지 개입된 공식 절차인 것처럼 속여 추가 입금을 요구했습니다. 이를 거부하자 협박과 회유까지 이어졌고, 결국 총 1억8000만원을 잃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9일 <뉴스토마토>에 제보된 피해 사례에 따르면, 피해자 A씨는 지난 8월 자신이 실제 투자 계좌를 보유한 증권사의 이름으로 온 광고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메시지에는 "유튜브 등에서 '염블리'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LS증권 염승환 이사와 함께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문구가 담겨 있었고 A씨는 의심 없이 링크를 클릭해 연락처를 남겼습니다. 그러나 이는 모두 사칭과 조작으로 꾸며진 가짜 메시지였습니다.
염승환 LS증권 리테일사업부 이사의 이름을 내세운 사칭 메시지와 AI영상, 자필 서약서 등 피해자가 제출한 자료.(사진=뉴스토마토)
 
이후 카카오톡을 통해 'LS증권의 이혜진 매니저'라고 밝힌 인물이 A씨에게 연락을 취하며 "작전주 프로젝트에 함께하자"며 밴드 채널 가입을 유도했습니다. 채널 안에서는 염승환 이사의 음성이 담긴 영상과 자료, 증권사 로고가 삽입된 콘텐츠가 공유됐고 피해자는 이를 공식 투자 안내라고 믿고 따랐습니다.
 
가짜 증권사 홈페이지까지 만드는 치밀한 수법도 동원됐습니다. 이혜진이라고 밝힌 인물은 "수익금은 홈페이지를 통해 관리된다"며 링크를 보내 투자금 입금을 요구했습니다. 피해자는 안내에 따라 돈을 송금했고, 이후 홈페이지에서 수익금이 불어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안심했습니다. 하지만 출금을 시도하자 "추가 절차가 필요하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이 인물은 '금융당국 승인 절차를 위한 증빙금'이라며 이른바 '녹색통로비' 명목의 비용 9000만원을 추가로 요구했습니다. 녹색통로비는 실제 금융회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허위 개념으로, 사기 조직이 피해자에게 추가 자금 납부를 유도할 때 자주 활용하는 수법입니다.
 
피해자가 이를 거부하고 더 이상 돈을 보내지 않자, 자신을 LS증권 직원이라 밝힌 인물은 태도를 바꿔 협박과 회유를 반복하며 심리적 압박을 가했습니다. 그는 실제 LS증권 염승환 이사를 '교수님'이라 부르며 "염승환 교수님도 알고 있다"는 식으로 권위를 내세워 피해자를 압박했고 "회사 차원에서 움직이고 있다"며 몰아붙였습니다. 이후 "당신의 상황을 봐줄 수 있다", "협조하면 회사 측의 고소 없이 마무리된다"는 회유성 메시지로 추가 송금을 유도했고 자필로 개인정보를 적고 지장을 찍은 서류까지 보내는 등 신뢰를 얻기 위한 치밀한 연출도 동원했습니다.
 
결국 피해자는 출금을 하지 못한 채 총 1억8000만원을 잃었습니다. 피해자는 현재 관련 대화 내역과 송금 자료를 관악경찰서에 제출하고 정식 신고를 마쳤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염승환 LS증권 리테일사업부 이사는 "최근 몇 년 사이 이런 사칭 피해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회사에서도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있지만 AI를 활용한 사기 수법이 정교해져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LS증권 관계자도 "회사와 직원 명의를 이용한 리딩방은 전혀 운영하지 않는다"며 "경찰에 여러 차례 신고했지만 해외 서버나 대포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수사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최근 금융회사 사칭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이용한 온라인 금융사기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금감원은 거래 과정에서 수수료나 증빙금 등 비정상적인 입금 요구가 있을 경우 즉시 거래를 중단하고 금융감독원(1332)이나 경찰(112)에 신고해야 한다고 안내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종 수법이 확인되면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차단을 의뢰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SNS 등에서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투자를 권유할 경우 해당 금융회사 고객센터를 통해 재직 여부를 확인하고, 금융소비자 포털 '파인(FINE)'을 통해 제도권 금융회사 여부를 함께 조회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김주하 기자 juhah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