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장과 김부겸 전 의원 등 유력 대권 주자들의 당권 출마가 유력해지면서 당내에서 지도부 선출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전당대회와 대선경선의 룰을 조기에 확정하기로 했으며, 현재의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4일 민주당에 따르면 전국대의원대회(전당대회) 준비위원회는 구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경선 룰 논의에 착수했다.
전준위가 전당대회 룰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손봐야 할 것은 당대표와 최고위원의 임기 연동 규정이다. 현재 민주당 당헌에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의 임기가 '다음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당대표가 선출될 때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즉 당대표 자리가 공석이 될 경우 최고위원도 함께 동반 사퇴해야 한다.
이전의 경우로 볼때 추미애 전 대표는 2년의 임기를 가득 채웠으며, 이해찬 대표도 2년의 임기 완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전당대회는 유력 대권주자들이 나서면서 경우가 달라졌다.
당헌에 따르면 대권 도전에 의사가 있는 인사는 대선 선거일 1년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 만약 전당대회에서 이 위원장이나 김 전 의원이 당선 될 경우 2021년 3월에 물러나야 해, 7개월 짜리 당대표가 우려되고 있다. 때문에 전준위도 3월 중도사퇴를 고려한 지도부 구성 관련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전준위는 우선 당대표 사퇴와 무관하게 최고위원의 임기를 보장할 것으로 보인다. 당대표가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사퇴할 경우 최고위원들까지 직접 영향을 받는만큼 최고위원 후보군의 고심도 깊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전준위는 최고위원 임기 2년을 보장해주는 방향으로 당헌 개정을 준비 중에 있다. 지도부 전체가 공석이 될 경우 리더십 공백이 우려되는 것에 따른 조치다.
당대표와 관련한 전대룰 변경에 대한 방안도 거론된다. 우선 최고위원의 임기를 보장하고 만약 3월에 당대표가 공석이 되면 잔여 임기를 채울 대표만 따로 선출하는 '원포인트' 전대가 하나의 방안이다. 이해찬 대표도 당 사무처에 이같은 방안에 대한 법률 자문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해당 방안은 특정 대선주자를 밀어준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 있다.
현재의 단일 지도체제를 집단체제로 변경하는 방안도 당내에서 이야기된다. 단일 지도체제는 당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당대표에게 당 운영 권한이 집중된다. 반면 집단 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동시에 선출해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사람이 당대표, 후순위가 최고위원을 맡는 방식이다. 이 경우 당 운영 권한이 분산되며 당대표 중도 사퇴에도 2위 후보가 당대표를 이어받게 된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현안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