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 인프라 구축을 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빅데이터·5세대 이동통신(5G)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한다. 코로나19로 드러난 디지털 격차를 해소할 디지털 포용 정책도 3차 추가경정예산안이 확정되는 대로 시행할 계획이다.
장석영 과기부 2차관은 3일 서울시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과기부는 디지털뉴딜의 상당 부분을 기획하고 주요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이 될 한국판 뉴딜은 추격국가에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 전략"이라고 말했다. 5조원 규모의 이번 3차 추경에서 8925억원을 배정받은 과기부는 △디지털뉴딜(8324억원) △K-방역(397억원) △민간 연구개발(R&D) 지원(204억원)에 예산을 투입한다.
장석영 과기부 2차관이 3일 서울시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부 3차 추경안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사항'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과기부
특히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할 디지털뉴딜 부분에서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등 'D.N.A'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는다. AI를 비롯한 4차산업혁명의 기반이 될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각 데이터를 수집·분석·유통하는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며 AI 학습용 데이터 150종을 개발한다. 학습용 데이터가 개방되면 의료, 공장,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적용될 전망이다. 장 차관은 "디지털뉴딜 사업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기업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했다"며 "결국 디지털화는 데이터가 중요하며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을 요청받았다"고 강조했다.
상용화 1주년을 맞은 5G 확산을 위한 투자도 진행한다. 그동안 기업·소비자거래(B2C) 영역에 머물던 5G 서비스를 공공분야에 적용한다. 정부 업무망 고도화 사업에 1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이 사업으로 공공분야 업무환경을 유선에서 5G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5G 실증·적용을 추진한다. 예산이 확정되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관 등 5개 분야에서 신청을 받아 진행할 계획이다. 5G 초저지연 서비스의 핵심인 MEC(Mobile Edge Computing) 융합기술도 발굴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디지털 교육센터' 1000곳을 운영한다. 기존 지자체 시설, 도서관, 복지관 등을 활용한 국민 디지털 종합역량교육을 계획 중이다. 장 차관은 "기본적 경제 활동,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역량 강화에 정부도 공감한다"며 "하반기에 바로 시작할 수 있게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부의 디지털 포용 정책에는 농어촌 초고속인터넷망 구축, 공공 와이파이 품질 고도화 및 확대 구축 등도 포함됐다.
SKT 직원들이 서울의 한 빌딩에서 5G 기지국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