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성 기자] 7일 남북이 2007년 이후 11년 만에 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모색한 배경에는 북한의 열약한 전염병 실태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북한의 주요 사망원인.자료/국회입법조사처
북한의 보건의료환경은 정확한 통계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국내외 기관의 취합된 자료를 보면 전염병 관리에서 취약한 것을 알 수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에서 2015년 발간한 '지표로 보는 이슈'를 보면 2008년 기준 북한의 전염성 질환과 출산관련 모성 사망, 영양결핍 등에 의한 사망이 전체 사망원인의 29.1%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 관련한 사망률은 6.1%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영아사망률도 매우 높다. 2014년을 기준으로 북한의 출생아 1000명당 1세 이전 사망을 의미하는 영아사망률은 23.68명으로 전세계 223개국 중 74위다. OECD회원국 평균인 4.51명 대비 5배가 넘는 수준이다.
문제는 보건의료 자원이 부족해 단기간 개선되기 어려워, 외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이날 남북이 협력방안을 논의한 배경이다. 북한의 12개 군 단위 종합 응급 산과병원의 약품 구비 현황을 보면 산전·산후 감염관리용 항생제의 경우 겐타마이신과 암피실린이 구비된 곳은 단 한 곳도 없고, 아목실린을 보유한 곳은 4곳에 불과하다. 분만 관련 약품도 소독제(포비돈 아이오다인)가 구비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고, 촉진제(옥시토신)도 2곳외에는 약품이 없거나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술용 마취제(케마틴)를 확보한 곳도 전무했다.
장비도 열악하다. 구비된 초음파기기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양호한 상태인 곳은 단 한 곳 뿐이었고 심전도 기기는 모두 없었다. 기도 분비물 흡입기는 석션과 인큐베이터가 '양호'한 곳이 각각 2곳, 7곳 뿐이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단기적으로는 기초의약품 지원을, 장기적으로는 영아사망률·전염성 질환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세종=이진성 기자 jinl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