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병호 기자] 태양광업계가 미 세이프가드 조치로 '생존' 과제에 직면했다. 태양광의 '노른자 시장'이던 미국에서 보폭이 억제된다.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력 대응을 시사한 정부 지원과 함께 업계는 거래선 다변화를 통한 자구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22일(현지시간) 미 무역대표부(USTR)는 수입 태양광제품(셀·모듈)에 2.5GW 기준으로 1년차에 30%, 2년차 25%, 3년차 20%, 4년차 15%의 관세를 붙이기로 했다. 트럼프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추진하는 등 보호무역 기조가 강해 세이프가드 발동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바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미국의 수입규제에 따라 대미 태양광 수출이 20%가량 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WTO 제소 등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태양광 수입규제와 관련, 관세와 쿼터 방식 등 3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관세를 부과할 경우 쿼터제를 요구한다는 방침을 피력한 바 있다. 이날 미국이 세이프가드를 발동하자 김현종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WTO 제소와 양허정지' 카드를 꺼내들었다. 강경 대응으로 자칫 미국과 전면적 통상마찰이 불거질 우려가 있지만, 정부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고 판단했다.
업계는 정부와 공동 대응하는 한편 수출선 다변화의 속도를 높이기로 방침을 정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고 35%까지 예상됐던 것에 비하면 관세가 낮게 책정됐다"면서도 "잉여물량을 중동과 유럽 등에 돌리는 다변화 전략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국내 태양광의 매출 중 수출 비중은 70%대로 추정된다. 국내 태양광산업을 주도하는 한화큐셀의 2016년 매출(24억2593만달러) 중 미국 비중은 35%에 이른다.
업계는 전력시장이 커지는 중동과 동남아시아, 신재생에너지가 각광받는 유럽 등으로의 판로 모색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문재인정부 출범 후 탈원전 기조 아래 태양광 보급을 본격화한 것도 불행 중 다행이다. 이날 오전 긴급 개최된 민관합동 대책회의에서도 정부와 업계는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동남아, 중동, 유럽 등 시장 다변화 ▲내수시장 확대 등에 중지를 모았다.
최병호 기자 choib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