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차현정기자] 4월 채권시장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를 전후로 단기적인 금리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금통위를 기점으로 통화정책 이벤트의 영향력이 급격히 축소되는 반면 추가경정 예산편성에 따른 채권 물량 부담은 상대적으로 크게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채권시장은 앞서 정부 성장률 전망치 하향 영향에 랠리를 보였다. 예상했던 수준에 비해 큰 폭의 성장률 전망치 하향을 통해 새 정부가 경기부양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란 기대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예상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31일 채권전문가들은 4월 금통위 이후 통화정책보다는 추경 이슈에 주목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운용전략을 제시했다.
공동락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경 편성에 따른 발행 물량에 대한 부담은 마찰적 측면에서는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추세적 금리 상승으로 확산될 개연성은 희박하다”고 진단했다.
여전히 민간 부문 자금 수요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국채 발행에 따른 자금 구축효과가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정책 당국의 경기부양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전망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연내 기준금리가 2.75% 동결될 것이란 견해를 정정, 기준금리 한 차례 인하를 예상한다”며 구체적 인하 시기로는 4월을 유력 점쳤다.
유재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인하 시 시장 관심은 추가 인하 여부로 집중될 것이다. 2회 인하 여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김중수 총재 임기 중에 연속 인하는 없었고 한은이 최근까지 시장 대비 낙관적 경기뷰를 갖고 있었기에 최소 1~2개월 간 동결기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만약 동결된다면 금리 반등 폭이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파급효과가 추가 경정 예산편성보다 느린 기준금리 인하가 4월까지 단행되지 않는다면 시장은 최근 김 총재의 엇박자가 진심이고 확고하다는 생각을 갖게 될 것이란 평가다.
그는 “5월 혹은 6월 이후 기준금리 인하는 너무 늦고 이때 기준금리가 인하된다면 추경의 신속한 효과와 서로 상쇄돼 채권금리에 중립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은 한은이 정책공조 수단으로 기준금리인하보다는 총액대출한도 확대와 같은 신용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이번 경기부양책의 기대효과로 인해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여겨진다”며 “이를 감안하면 14분기를 저점으로 금리상승세가 예상되며, 당분간은 풍부한 대기매수세로 금리상승 속도가 더딜 것으로 보이므로 각 투자기관의 특성에 맞게 운용전략을 펴길 권고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