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네 번째 우주 항해에 나섭니다. 이번 누리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을 총괄하고 발사 운용에도 참여합니다. 이번 발사는 단순한 위성 발사를 넘어 우주개발 패러다임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되는 출발점으로 평가됩니다.
누리호는 27일 새벽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네 번째 우주비행에 나섭니다. 누리호의 앞선 1~3차 발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설계부터 조립, 발사 운용까지 전 과정의 책임을 맡았습니다. 사실상 국가 연구개발 체제였습니다.
그러나 4차 발사부터는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을 총괄하고 발사 운용에도 본격 참여하면서 민간 주도 모델이 처음 적용됐습니다.
누리호 4호기 제작은 전 과정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이 대폭 확대됐습니다. 기체 총 조립을 비롯해 구성품 참여 업체 관리, 품질 책임 등의 업무를 맡았습니다.
또한 발사 과정에서도 발사지휘센터(MDC)와 발사관제센터(LCC)에 핵심 엔지니어를 투입해 실질적인 발사 운용 절차를 수행합니다. 이는 민간기업이 발사 일부를 참여하는 첫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우주 산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누리호 발사체의 민간 제작 및 운용 참여는 향후 한국이 독자적인 상업용 위성 발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산업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으로 해석됩니다. 미국이 NASA 중심에서 스페이스X 같은 민간기업 중심 구조로 이동한 것과 유사한 단계에 한국이 진입한 것입니다.
앞으로 계획된 5차, 6차 발사에서는 민간의 참여 범위가 점차 확대됩니다. 5차 발사부터는 발사 책임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운용을 민간이 주도하는 구조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누리호 4차 발사는 주탑재 위성 1기와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를 실어 올립니다. 이는 누리호 발사 역사상 최다 탑재이며 다중 위성 사출을 정밀히 수행해야 하는 만큼 발사 난이도가 높아졌습니다.
민간 기업이 제작을 총괄한 첫 실전 발사에서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모든 분리·사출 절차를 수행할 경우 한국 우주기술의 안정성이 한 단계 입증될 전망입니다. 동시에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체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신뢰 기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발사하는 시대가 열리도록 하겠다"며 "국가 우주개발 정책이 국민에게 신뢰성과 안정감을 주면서도 유연하고 신속하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1월25일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이송 및 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