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10월 2일 14:56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권영지 기자]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인
코스모화학(005420)이 미래를 위한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재무 상황은 악화일로다. 지난해 연간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 상반기에도 적자를 기록했고,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면서 단기 차입금이 급증해 유동성 위기 우려가 커지고 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이라는 신사업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전방산업 악화와 함께 투자금 회수 불확실성이 겹치며 ‘미래 성장성’과 ‘단기 재무 부담’이 충돌하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코스모화학이 이 같은 난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코스모화학)
적자 지속에도 투자 부담 가중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스모화학은 지난해 연간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38억원의 적자를 내며 전년 동기(38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그럼에도 회사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니켈·코발트 등 핵심 광물을 추출하는 도시 광산 기술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문제는 적자 상태에서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코스모화학의 2023년 자본적지출(CAPEX)은 1841억원에 달했으며, 지난해에는 1997억원을 집행했다. 수익성이 떨어진 가운데 투자가 이어지며 잉여현금흐름(FCF)은 2023년 –2290억원, 지난해 –2274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의 현금 창출력이 투자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코스모화학은 부족한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외부 차입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재무활동현금흐름은 2530억원, 지난해에도 1729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차입금 부담이 크게 늘어났다.
단기성차입금 대비 현금성자산 규모가 훨씬 적어 단기 유동성도 크게 떨어진 상태다. 올 상반기 기준 사채를 포함한 유동차입금은 3656억원, 비유동차입금 중 유동성 대체분은 83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54억원에 불과하다. 만기를 앞둔 단기부채 상환 능력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코스모화학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저희뿐 아니라 종속회사인
코스모신소재(005070) 역시 양극재 증설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어 자금 조달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전방 산업의 캐즘 현상까지 겹치면서 수요가 여의치 않았고, 그 결과 차입금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대부분 단기 차입으로 분류돼 있지만 주거래 은행을 통한 장기성 차입이 많아 만기 연장을 통해 유동성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사업 수익을 통해 부채 상환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방 시장 부진 속 신사업 투자금 회수 불투명
코스모화학 승부수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이다. 회사는 이미 이차전지 재생 원료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배터리 원료를 자급해 글로벌 원료 시장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원가 경쟁력 확보와 함께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시기’다. 전기차 시장이 고성장 단계에서 잠시 주춤하며 수요 정체 구간, 이른바 캐즘에 진입한 지 2년을 넘어서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도 투자금을 회수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단기 유동성 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가운데 코스모화학은 코스모신소재, 코스모촉매를 종속회사로 두고 있으며, 이차전지 원료부터 소재까지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려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향후 전기차 시장이 재도약할 경우 코스모화학이 시장 지배력을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현재로서는 ‘미래 성장성’과 ‘유동성 위기’라는 상반된 요소가 교차하는 상황이다. 재무 구조 개선과 신사업 안착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투자자 불안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코스모화학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으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은 타당하다”면서도 “현금흐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투자 지속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권영지 기자 0zz@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