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 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입니다.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해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김호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8일 농어업위 취임식 취임사를 통해 농어업위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 기반임을 강조하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또 기후 위기·농어업 위기·식량 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 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 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 극복도 피력했습니다. 지속 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과 관련해서는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호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8일 농어업위 취임식 취임사를 통해 농어업위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 기반임을 강조했다. (사진=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김 위원장은 이재명정부의 농정 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돼 지속 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을 이루며, 농업이 국민 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이 될 수 있도록 위원회와 유관 부처에 성원,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단국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인 김호 농어업위원장은 1961년생으로 고려대 농업경제학과를 졸업 후 고려대 농업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한국농식품정책학 회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비상임감사, 경실련 상임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한 인물입니다.
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