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환석 방위사업청 차장이 1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국방 AI 중소기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방위사업청)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국방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기체계 개발은 미래전의 게임체인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군의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국방 AI 중소기업들은 1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국방 AI 중소기업 간담회'에서 엄격한 군의 보안 정책으로 군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방위사업청이 주관한 이날 간담회는 국방 AI 분야 민·관 협력 강화와 AI 중소기업의 현장 애로 사항 청취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방사청이 선정한 '방산혁신기업 100' 중 AI 분야 11개 기업이 참석한 간담회에서는 기업별 AI 기술 소개, 국방 AI사업 추진 과정에서 마주하는 주요 제약 사항인 보안 규제, 실증 환경 부족, 경직된 획득 절차 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AI 기술이 첨단무기체계 개발과 운용에 필수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AI 기반 국방 사업을 추진 중인 중소기업은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한 표준화와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AI 기술의 빠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획득 절차 도입, 국방 특화 AI 모델 개발 필요성 등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이번 간담회는 국방 AI 현장의 애로 사항과 개선 필요 과제를 직접 청취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며 "참가 기업들이 제시한 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 보안 정책 개선, 유연한 획득 절차 등 국방 AI 사업의 핵심 기반 마련을 위해 관련 부처와 유기적인 협력을 신속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