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전기차 배터리 구독’ 사업 규제 가로막혀 중단
배터리 차 부품 간주…소유권 분리 불허
2025-05-26 10:48:19 2025-05-26 10:48:19
[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기아가 국내 완성차 업체 최초로 추진해온 ‘전기차 배터리 구독’ 사업을 중단했습니다. 전기차 구매 시 가격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 값을 제외해 소비자 부담을 줄이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을 극복할 해법으로 주목 받았지만, 관련 규제의 벽을 넘지 못했습니다. 
 
지난 3월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를 찾은 참관객들이 금양 부스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26일 기아는 지난해 말 정식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했던 전기차 배터리 구독 사업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이 전기차 배터리를 차 부품으로 간주해 소유권 분리를 끝내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조만간 법개정 등 여건이 갖춰지면 다시 추진할 예정입니다.
 
배터리 구독 서비스는 전기차 값의 40% 이상인 배터리를 제외한 차량 가격만 지불하고 배터리는 매월 구독 형태로 쓰는 방식입니다. 기아는 2023년 7월 현대캐피탈·신한EZ손해보험 등과 손잡고 지난해 말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실증 사업을 벌였습니다. 기아의 당초 목표는 지난해 하반기 택시 전용 전기차 모델인 ‘니로 플러스’에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적용하는 것이었지만 이미 해를 넘겼고, 그 사이 니로 플러스는 단종됐습니다.
 
배터리 소유권 분리는 업계 간 입장 차이로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아 뿐 아니라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들은 신사업 추진을 위해 버틸 소유권 분리를 기대했지만, 중소 폐차 업체들은 배터리 재활용의 길이 막혀 수익에 타격을 입는다며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전기 배터리 구독 서비스는 국내에서는 국제 특례를 통해 매우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전기차 제조사인 니오 등이 전면 시행하고 있습니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