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 탄소세 도입을 공식화한 가운데, 미·중 관세 전쟁까지 겹치며 국내 해운업계의 불확실성이 한층 더 커지고 있습니다. 양국 간 교역 축소로 인한 운임 하락과 더불어 탄소세까지 더해지면서 업계 내 부담이 가중되는 모양새입니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뉴시스)
1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1일 기준 1394.68로, 올해 초 2505.17 대비 절반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SCFI는 중국 상하이항에서 출항하는 주요 항로의 단기 운임을 반영하는 대표 지수로, 해운 운임 설정의 기초가 됩니다.
운임이 급락한 원인으로는 미·중 관세 전쟁이 지목됩니다. 지난 10일(현지시각)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중국도 12일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예고하면서 양국 간 교역은 사실상 중단 위기에 놓였습니다. 세계 최대 물동량을 처리하는 두 나라의 교역이 위축되자 글로벌 물동량도 함께 줄며 운임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탄소세 도입도 업계에 부담을 더하고 있습니다. IMO는 지난 11일(현지시각)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 조치’를 채택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7년부터 5000톤 이상 선박이 온실가스 기준을 초과해 배출할 경우, t당 100~380달러의 탄소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국내 해운기업이 연간 최대 4조8916억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그럼에도 업계 일각에서는 현 상황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미·중 갈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국내 해운사가 사업 다변화를 꾀할 수 있고, 이미 친환경 대응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온 국내 선사들이 탄소 규제 대응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국내 주요 선사들은 사업 다각화와 신규 노선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국적선사 HMM은 지난 2월 대서양과 인도~유럽 구간에서 컨테이너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또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인도와 북유럽을 잇는 항로도 새롭게 개설할 예정입니다. 또 아시아~남미 구간에 컨테이너 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국내 주요 해운사들은 LNG·메탄올 이중연료 추진선 도입, 스크러버 장착, 운항 효율화 등을 통해 탄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팬오션의 경우 LNG선 도입을 늘리며 벌크 중심 사업 포트폴리오의 친환경 전환을 추진 중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관세 전쟁과 탄소세 도입 등으로 변동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해운업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아직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단계”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어 “신규 노선 발굴 및 친환경선 투입, 사업 다각화 등으로 위기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