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3일 네이버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후공시 의무화 대응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채선주 네이 대외·ESG 정책 대표. (사진=수자원공사)
이날 협약으로 수자원공사와 네이버는 '물재해 위험 평가 모델'을 구축하고, 기업이 기후위험과 공시 의무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평가 기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평가모델을 마련하는 데엔 수자원공사의 '물관리 디지털트윈' 기술이 활용됩니다. 이 기술은 현실 세계를 복제한 3차원 디지털 화면에서 물재해 시나리오를 분석·시뮬레이션 해, 최적의 대응 방안을 도출합니다.
주요 상장사가 쓰는 기존 위험 평가모델은 해외기관 의존도가 높거나, 과거 통계 중심으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반영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습니다. 반면 수자원공사의 디지털트윈은 사업장 단위의 홍수·침수 위험을 정밀하게 분석해, 기업이 대응 전략을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수자원공사는 디지털트윈을 네이버의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와 결합해, 하천 범람·도시침수 등에 대한 사업장 위험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방침입니다.
한편, 기후공시 의무화 논의는 국제적으로 확산하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도 '기후위험 평가'와 '대응책 마련'은 기업 경영의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가 지난해 공개한 공시기준 초안엔 '물리적 리스크(홍수·물 스트레스 등)'가 주요 항목으로 포함됐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