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교체 때마다 휘둘리는 우리금융, 완전민영화 맞나
우리사주조합 최대주주, 예보 지분 2% 미만
'과점주주 체제' 지배구조 불구 외풍 취약
2023-01-20 06:00:00 2023-01-20 06:00:00
[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우리금융지주(316140)가 정부의 공적자금을 대부분 상환하고 사실상 민영화를 달성했지만, 여전히 정부의 그늘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당국의 압박, 친정권 '낙하산' 인사를 앉히려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용퇴 결정 이후 우리금융이 '외풍'에 흔들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입니다. 가장 강력한 차기 회장 후보였던 손 회장이 물러나면서 우리금융 회장 자리에 친정권 '낙하산' 인사를 앉히려는 시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금융지주의 역사는 한국 경제의 전환점이라고 불리는 1997년 외환위기, 즉 IMF에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조흥·상업·제일·한일·서울은행 등 5대 은행이 무너졌고, 정부는 이들 중 공적자금이 투입된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을 합병하면서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을 출범시켰습니다.
 
당시 정부는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우리금융에 투입해 100%의 지분을 가졌습니다. 사실상 국가가 소유한 은행이라는 점에서 IBK기업은행이나 KDB산업은행 등 국책은행과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지난 2021년 12월 우리금융의 최대주주였던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 지분 9.33%를 민간에 매각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상실했고, 우리금융은 사실상 민영화를 달성한 상태입니다. 우리금융이 공적자금 상환율도 96%에 달합니다.
 
그러나 사실상 민영화가 달성화 된 시점에 우리금융지주가 여전히 정치권이나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입니다.
 
이명박정부 시절 금융권을 호령했던 '4대 천왕' 시대가 불과 10여년 전입니다. 당시 금융권 4대 천왕은 어윤대 KB금융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 등을 지칭합니다.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이 있다고 알려진 이들은 업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이후 내부 출신이 지주사 회장과 우리은행장 자리를 이어받았습니다. 이 전 회장이 물러나는 과정도 매끄럽지는 않았습니다. 당시 금융위원장이 "알아서 잘 판단하실 것"이라며 공개적으로 퇴진압박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이 발언 이후 이 전 회장은 한달이 채 되지 않아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 얼마 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손태승 회장을 향해 "현명한 판단을 하실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최고경영자(CEO) 인사를 앞두고 당국의 수장이 경고성 멘트를 던지는 모습은 10년 전과 꼭 닮았습니다.
 
우리금융지주가 정부 지분을 줄이면서 내부 출신 인사가 분위기가 이어지는 듯 했습니다. 공적자금 상환과 민영화 달성이라는 숙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직 안정을 꾀하면서 영업력이 있는 내부 출신이 선임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되는데, 임추위에서 회장 후보를 선출하고 주주총회에서 추인받는 과정을 거칩니다. 과점주주 체제가 안정적인 지배구조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다만 금융권 관계자는 "사외이사 추천 주주들은 대부분 금융사이기 때문에 금감원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