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신호’ 장단기 금리 역전까지 0.17%p
2022-03-21 04:00:00 2022-03-21 04:00:00
[뉴스토마토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장단기 금리가 바싹 다가섰다. 장단기 금리 역전을 경기침체 신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들의 우려는 한층 깊어지고 있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에서는 10년만기 국채와 2년만기 국채 금리가 각각 2.14%, 1.97%로 마감했다. 이로써 장단기 금리차(스프레드)는 17bp(0.17%p)로 좁혀지며 2년만에 마이너스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채권은 원리금 상환에 걸리는 기간이 길수록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장기물의 채권금리가 높은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경기가 나빠져 기업들의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면 이자를 더 주고서라도 자금을 조달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단기금리가 더 많이 올라 장단기 금리차가 좁혀지곤 한다. 
 
장기금리를 대표하는 채권은 미국채 10년물이며 단기금리는 미국채 2년물로 판단한다. 흔히 말하는 장단기 금리차는 ‘10년물 금리-2년물 금리’를 의미한다.  
 
지난해 158bp(1.58%p)까지 벌어졌던 둘의 금리차는 25bp까지 간격을 크게 좁혔다. 이들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10년물과 7년물의 금리 차이는 이미 역전됐고 10년-5년물도 뒤집히기 직전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드가 50bp 미만으로 떨어지면 위험신호로 여겨진다.
 
지금과 같은 흐름이 이어진다면 장단기 스프레드는 마이너스 영역으로 들어설 수 있다.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넘어서는 것이다. 시장 참여자들이 특히 이 부분에 주목하는 것은 장단기 금리역전 후 경기침체를 기록했던 이력 때문이다. 
 
 
1980년 이후 미국에서 나타난 여섯 차례의 경기침체는 모두 1~2년 전에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짧은 경기침체도 2019년 8월 잠깐이나마 장단기 스프레드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흔적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장단기 금리역전을 경기침체의 전조현상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둘의 차이가 크게 좁혀진 지금도 1~2년 후 경기침체가 오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것이다. 매번 ‘이번엔 다르다’라며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피해가지 못했다.  
 
장단기 금리차는 지난해 10월부터 빠르게 좁혀지기 시작했다. 그 배경엔 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을 일찌감치 예고했던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있다. 연준은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3년3개월만에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다. 실업률은 완전고용 수준으로 낮은데 물가는 40년래 최고치일 정도로 너무 높아 금리를 올려야 했다는 것이다.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이 정하는 이 기준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중간에 속도조절을 할 만한 상황이 생기지 않는 한 앞으로도 FOMC 때마다 올려 3%까지 인상할 것이라는 증권사들의 전망을 참고한다면, 단기금리 역시 계속해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또한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으로 원유, 천연가스, 유연탄, 금속 등 원자재와 농산물 가격이 함께 오르는 것도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16일 CNBC 서베이가 금융시장 참여자를 조사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에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3%, 유럽은 50%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물가와 금리는 높고 경제는 침체에 빠지는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미국 기업들의 이익 전망치와 가계소비가 여전히 양호하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상승의 원달러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지난 15일 1242.8원까지 치솟았던 환율은 1207.6원으로 소폭 하락하며 한 주를 마감했다. 전쟁이 불러온 원자재가격 급등에 몸살을 앓고 있는 기업들로서는 환율 상승의 부담까지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 달가울리 없다. 
 
장단기 금리 추이는 투자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이어서 지켜볼 수밖에 없지만 피해 가능성이 큰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면 미리 준비할 필요는 있다. 이자 부담 증가를 감안하면 투자보다는 대출상환을 우선순위에 놓는 것도 중요하다.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ckkim@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