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로 활로찾는 제약업계)①유한양행 1.4조 대박에 제약업계 R&D 투자 속도전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 새삼 주목…연구인력 확대·해외 법인 설립 등도
2018-11-16 06:00:00 2018-11-16 06:00:00
유한양행의 1.4조 규모 기술이전이라는, 모처럼만에 터진 '대박'이 그간 제약·바이오업계 전반에 걸쳐 고개들고 있던 수익성 우려 문제를 보기 좋게 해소하는 분위기다. 덩달아 업계 내 R&D 투자의 중요성도 새삼 재조명되는 분위기다. 다만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과거와 달리 국내에서도 R&D가 제약·바이오 혁신 성장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자리잡아가고는 있지만, 글로벌 대형사들과 비교하면 아직까지 투자 규모나 기술 수준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중 꾸준한 R&D로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기업들의 구체적인 투자 규모와 방식을 살펴보고, 이들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은 무엇인지 짚어본다. (편집자) 
 
[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3분기 국내 제약업계는 R&D에 울고 웃었다. 전반적 내수 판매 부진 속 연구개발비 증가에 상위 제약사들의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크게 뒷걸음질쳤다. 상반기 일부사가 수익성 감소에도 매출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인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었다. 
 
단기 수익성 악화를 감수하더라도 미래 성장 동력인 R&D 투자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구사한 것에 대해 업계는 담담히 받아들이는 분위기였지만 시장은 달랐다. '결과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우려가 속속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때마침 유한양행의 1조4000억원 규모 기술수출 소식이 터졌다. 대규모 계약 성과는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켰고, 제약업계 R&D투자 전략은 다시금 시장의 신뢰를 얻어내며 힘을 받게 됐다. 
 
제약산업은 대표적 기술집약적 산업이다. 1종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평균 10년의 기간과 500억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막대한 비용 및 오랜 연구는 성공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여겨진다. 신약의 혁신성과 시장성이 인정되기만 하면 막대한 이익을 안겨줄 수 있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꼽히기도 한다. 
 
과거 국내 제약업계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의 기술 격차 문제 때문에 주로 복제약 중심의 매출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지난 1999년 국산 신약 1호인 SK케미칼 '선플라주'를 기점으로 좁은 내수시장을 벗어나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기 위해 혁신신약 개발을 필수로 여기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를 위해선 R&D 투자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 같은 기조는 국내 제약사 가운데 가장 높은 매출 대비 R&D 투자를 집행해 온 한미약품이 지난 2015년 8조원대 신약 후보물질 기술수출 잭팟을 터트리며 더욱 힘을 받았다.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011년 9240억원 규모였던 국내 상장 제약사 연구개발비는 지난 2016년 1조5657억원으로 5년간 69.5%나 증가했다. 연간 1000억원 이상을 R&D에 투자하는 기업 역시 2011년엔 셀트리온뿐이었지만, 올해는 5개사(유한양행, GC녹십자, 셀트리온, 한미약품, 대웅제약)에 이를 전망이다. 상반기만 놓고 봐도 상장 제약사 38개 가운데 30개 기업이 전년 동기 대비 R&D 투자비를 늘렸다.  
 
매출 대비 R&D 투자비용은 한미약품과 셀트리온이 단연 돋보인다. 올 상반기 매출의 25.7%, 19.6%에 해당 하는 비용을 R&D에 쏟아 부었다. 이밖에 동아에스티(13.2%), 대웅제약(13%), GC녹십자(11.4%), 종근당(11%) 등의 상위 제약사들이 10%대 투자를 집행 중이다. 지난해 제조업 중심의 종업원 1000명 이상 대기업 투자비중 평균인 3.61%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연구개발의 핵심이 되는 연구직 채용 비중도 늘어나는 중이다. 지난 2008년 제약업계 전체 인력 중 10.35%를 차지했던 연구 인력은 지난해 12.48%로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직과 사무직 비중이 소폭 감소하거나 제자리걸음한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최근엔 비용 및 인력 확대를 넘어 다양한 R&D 경쟁력 강화 전략이 줄을 잇고 있다.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레이저티닙'의 1조4000억원 규모 기술수출로 주목받은 유한양행은 지난 2015년 이정희 대표 취임 이후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에 힘을 실어왔다. 국내외 유망 바이오벤처의 기술을 사들이거나 지분 투자를 하는 방식이다. 레이저티닙 역시 지난 2015년 국내 바이오벤처 오스코텍으로부터 사들인 기술이다. 유한양행은 오스코텍 외에 바이오니아, 제넥신, 이뮨온시아, 브릿지바이오, 굳티셀 등 총 18개 바이오벤처에 투자한 상태다. 
 
GC녹십자 역시 국내외 바이오벤처 6개사에 투자했으며, 한독(제넥신)과 부광약품(안트로젠)도 벤처 투자를 진행 중이다. 대웅제약의 지주사 대웅은 지난해 베트남 제약사 트리파고 지분 일부를 인수하며 트리파코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새로운 투자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해외 법인을 설립하는 것도 국내 제약사들이 선택한 전략 가운데 하나다. 현지 파트너사 미팅을 용이하게 하고, 임상 및 원료 조달 등의 인프라 활용이 가능해 주요 해외 시장 허가 및 기술이전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대웅제약은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8개의 해외 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한양행과 GC녹십자는 시애틀, 샌디에이고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 대비 투자 규모에 있어 절대적으로 불리한 국내 제약사의 경우 효율적 R&D 투자가 중요한데, 한정된 인력과 자원을 유기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은 국내 산업에 적합한 모델"이라며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의 세분화 및 고도화를 위한 업계 노력이 지속되는 동안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책 역시 박자를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