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상윤 기자] 포스코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신성장 사업 강화에 나선다. 이와 더불어 해외 사업들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미래 50년을 이끌 포스코의 쌍두마차가 성장세를 달리고 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철강 본연의 사업 강화와 더불어 새로운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안정적인 성장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며 "리튬은 낮은 원가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이차전지 소재사업은 고용량 제품의 판매를 확대해 국내외 생산 기반을 확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포스코는 최근 에너지와 소재사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에너지는 그동안 추진해 온 발전사업의 내실을 다진다.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시설을 활용하는 LNG 미드스트림(Mid-stream·가스를 액화해 수송·기화하는 사업)을 확대해 장기적으로 광양 LNG 터미널을 동북아시아 에너지 허브로 육성할 방침이다.
포스코 해외 자회사 경영실적. 제작/뉴스토마토
이차전지 소재사업도 주목하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1월 중국의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법인을 현지에 세울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전구체와 양극재는 이차전지 소재들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리튬이온전지 시장이다. 포스코는 중국 현지에서 양극재를 직접 제조 또는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중국에서 전기차와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IT 대용량 배터리 등에 대한 수요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에는 호주 광산개발 기업인 필바라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면서 리튬정광을 장기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정광은 자연광석을 높은 품위의 광물로 가공한 광석으로, 포스코는 안정적인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이달 9일에는 삼성SDI와 함께 세계 최대 리튬 생산 국가인 칠레의 리튬프로젝트 최종사업자로 선정됐다. 포스코와 삼성SDI는 575억원을 투자해 칠레 북부에 위치한 메히요네스시에 양극재 생산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칠레가 수출하는 리튬을 최저가로 공급받아 오는 2021년 하반기부터 연간 3200톤 규모의 전기차용 고용량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리튬 직접 추출 독자기술을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광양제철소에서 탄산리튬공장 PosLX를 준공하고 국내 최초로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 PosLX는 연산 25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가진 공장이다. 탄산리튬 2500톤은 노트북용 배터리 7000만개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포스코는 염수를 자연 건조해 리튬을 추출했던 기존과 달리 PosLX를 통해 생산 시간을 3개월 이내로 단축시켰다. 또 리튬 회수율도 종전 50% 미만에서 80%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포스코 해외 사업도 본궤도에 올라 수익성을 내기 시작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지난 2014년 가동 후 처음으로 영업이익 141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했다. 멕시코 자동차강판 생산공장 포스코멕시코와 인도 냉연 생산법인 포스코마하스트라는 가동 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계열사 가운데에는 포스코대우가 가장 돋보인다. 포스코대우는 지난 2013년 6월부터 미얀마 가스전에서 가스를 생산했다. 이 지역은 외국 기업들도 탐사 시도에 실패하고 포기했던 곳이다. 포스코대우는 독자적인 탐사기법을 적용해 가스전을 발견했다. 미얀마 가스전은 4조입방피트(Tcf)의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소비량의 3년 치에 해당한다. 국내 업체가 발굴한 최대 규모의 해외 가스전이다.
포스코대우는 미야 가스전에서 생산한 가스를 해상의 생산플랫폼에서 정제 처리한 후, 해저 가스관을 거쳐 미얀마 서부 해안의 짝퓨 지역에 위치한 육상가스터미널로 보낸다. 이곳에 모인 가스는 미얀마와 중국 내륙의 육상 가스관을 거쳐 중국 국영석유회사인 CNPC에 판매되고 있다. 포스코대우는 향후 생산 계획에 맞춰 쉐, 쉐퓨 가스전에서도 가스를 뽑아낼 계획이다. 포스코대우는 미얀마 가스전에서 지난 2016년 2533억원과 지난해 2482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아울러 포스코대우는 해외 민자발전사업에서도 사업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대우는 지난 1999년부터 파푸아뉴기니 수도 포트모르즈비에 25㎿(메가와트)급 중유 내연기관 발전소를 통해 파푸아뉴기니 수도권 전력망 수요의 25%에 해당하는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외에도 파푸아뉴기니 제2의 도시 라에에 30㎿ 규모의 내연발전소를 추가로 건설 및 운영하는 장기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 발전사업자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신상윤 기자 new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