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신임 총재가 10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입장하고 있다.ⓒNews1
[뉴스토마토 이종용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물가 상승 압력이 물가 안정을 저해할 경우에는 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이후 열린 기자 설명회에서 "물가 안정과 성장, 통화 완화기조가 오래 지속될 경우 대내외 불균형 등을 보고 금리정책을 운용하겠다"며 "앞으로 수요 부문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생겨 물가안정을 저해할 경우 선제적으로 (금리를) 움직이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주열 총재와의 일문일답.
-경기 회복 속도는 어떻게 보나
▲경기회복속도는 연간 4%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통상 잠재성장률을 3%대 후반으로 보는데 잠재성장률 수준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다만 GDP갭(실제 성장과 잠재 성장의 차이)이 마이너스여서 적정한 성장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을 감안하면 성장이 중요한 과제이다.
- 물가안정목표치의 범위 자체를 조정할 가능성은 있나.
▲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치 하단을 1년여간 밑돌고 있다.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공급적 요인 때문이다. 이례적인 요인이 해소되면 과거 흐름을 되찾을 것으로 본다. 물가안정목표를 벗어났다고 해서 통화정책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가안정목표제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 실질금리가 높은 수준이다.
▲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에서 차감하는건데, 명목금리가 변동이 없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아 실질금리가 올라간 건 사실이다. 하지만 실물경제에 의미있는 변화를 줄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다.
- 체감경기가 안좋다. 어떤지표가 좋아져야 하나.
▲ 지금 고용사정이 많이 좋아지고 있다.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서비스업은 장년층에 몰려있고, 정부 일자리정책도 일용직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임금상승률도 높다고 말할 수 없다. 고용과 임금이 일반경제주체들이 느끼기에 지표경기에 비해 많이 미흡하다고 본다.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이 되면 고용과 임금 쪽으로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 원·달러 환율이 하락했는데 어떤 요인인가.
▲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크고 국제금융시장에서 불안 요인이 완화되면서 유출됐던 증권자금, 채권자금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틀면서 원·달러환율이 하락했다. 환율변동성이 너무 커져서 쏠림현상이라도 생기면 시장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예의주시하고 있다.
- 성장 전망은 올리고 물가 전망은 내렸다. 언제쯤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는지.
▲ 물가 안정과 성장, 대외력 불균형 가능성 등을 보고 금리정책을 운용해갈 것이다. 앞으로 수요 부문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생겨서 물가 안정을 저해할 경우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문제에 대해서 논의를 해봐야 한다.
- 가계부채를 줄여야 한다고 보는지.
▲ 가계부채에 대해 가장 우려하는 것은 금융기관 부실화로 이어져서 금융시스템 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다. 현 단계에선 그런 상황으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가계부채의 절대 규모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다고 본다. 총량 증가율을 소득증가율 이내로 묶어서 소비 제약을 완화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취약계층 상환부담은 통화정책 차원에서 볼건 아니다. 취약계층에 생길지 모르는 상환부담은 정부와 협조해서 완화해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중국 경제는 어떻게 보고 있는가.
▲ 중국경제의 취약점은 그림자금융, 지방정부 공기업의 부채 등 여러가지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그간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중국이 우리 경제에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중국 경제 대한 우려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고 있다.
- 앞으로 정부정책 공조는.
▲ 중앙은행과 기재부는 거시정책을 담당하는 두 축이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큰 틀에서는 정책의 효율성이 높아지도록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각자의 고유 역할을 존중하는 바탕위에서 거시정책이 조화를 이뤘으면 좋겠다. 우선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많이 공유해야하고, 갖고 있는 정보를 수시로 교환하면서 현상황에 대한 인식이나 앞으로 전개 양상에 대한 차이를 줄여나가야 한다.
- 최근 단행한 인사가 전임 총재의 흔적 지우기라는 평가가 나오는데.
▲ 인사청문회를 준비하면서 업무 효율성 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총재로 부임하면서 담당하는 유관부서의 국장을 바로 교체 했다. 앞으로 성과 측정을 통해 미세조정은 있겠지만 조직을 전면적으로 바꾸는건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