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동훈기자] 노인 복지정책의 패러다임을 자녀동거 부양에서 벗어나 '노인 단독거주'로 바꾸고, 대상자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보건복지포럼 1월호에서 "노인의 가구 유형은 점차 자녀동거가구는 줄고, 노인부부가구와 노인독거가구 등 노인단독가구는 증가하는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사연에 따르면 1994년 노인이 혼자 생활하거나 배우자와만 생활하는 노인단독가구의 비중은 40.4%로 자녀동거가구의 54.7%보다 적은 규모였다. 하지만 2011년에는 노인과 자녀가 동거하는 가구가 27.3%로 급감했고, 노인단독가구는 68.1%로 급증했다.
정 연구위원은 "노인의 가구 형태는 이처럼 급변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은 자녀동거 부양을 암묵적으로 가정한 것이 많았다"며 "독거노인을 예외적인 집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녀가 별거하면서 노부모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형태가 보편화하고 있다"며 "이들의 경제사정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자녀가 해당 서비스의 질을 지켜보고 보완하는 조율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인의 소득과 건강에 따라 선택하는 주거 유형을 개발하고 고령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해 이들이 지역사회에 계속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식사·영양, 수발 서비스는 물론 범죄, 재해, 고독사에 대한 두려움 완화 서비스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가부장적인 문화와 일 중심의 생활을 해온 현 노인세대의 경우 결혼 후 쌓여온 갈등이 노년기에 폭발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를 반영해 노년기 삶에서 중요한 배우자와의 관계를 강화·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 연구위원은 "현재 보호 필요가 높은 노인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노인 정책은 대상자가 확대돼야 한다"며 "독거노인은 정서적 고립감, 위기 취약성 등의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경험하지만, 그 규모의 증대에 따라 건강과 소득이 바뀌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