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뉴스토마토프라임] '폭염의 그림자' 기후위기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21명에 달해
폭염 빈도·강도↑…기후위기 직격탄
피해의 무게, 사회적 약자에게만 '집중'
기후대응기금은 재정 안정성 '위협'
기업이 할당받는 배출권 90% '무상'
2025-08-11 16:10:23 2025-08-11 17:12:31
[뉴스토마토 이규하 정책선임기자] 지난 5일 부평역 인근 광장에 70대 여성 A씨가 쓰러졌다. 구급차가 도착했을 땐 의식이 희미했고 인근 병원으로 옮겼지만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인 추정은 '열사병'. 당시 A씨의 체온은 40도를 웃도는 상태로 알려졌다. 기상청 발표 폭염특보가 있던 그날엔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만 3명에 달했다. 최근에는 제초 작업 이주노동자가 쓰러져 숨졌고 카트 노동자의 비극 등 지난 5월20일부터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21명에 달하고 있다. 
 
폭염은 더이상 여름철 더위로 치부할 문제가 아니다. 최근 10년간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사망자는 매년 증가 추세로 역대급 더위를 기록한 2023년 여름부터는 피해가 재난에 가깝다. 자연재해가 아닌 사회적 재난이라는 얘기다. 
 
특히 폭염 아래 노출된 노동자나 취약계층은 제도적 보호망이 작동했다면 살릴 수 있었던 생명이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그의 저서 『위험사회』를 통해 위험이 모두에게 다가오지만 피해의 무게가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된다는 점을 꼬집고 있다.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구급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기후 과학자들은 이미 경고해왔다. 산업화 이후 지구 평균기온이 약 1.2도 상승하는 등 끓고 있는 폭염의 빈도와 강도는 기후위기의 직격탄이 되고 있다는 현실을 말이다. 현 추세대로면 2030년 전후 폭염일수는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동·건강·경제 전반에 치명적인 충격파를 불러올 수 있다는 얘기다. 
 
폭염은 태풍·홍수처럼 눈에 보이는 파괴력이 낮기에 재난 인식이 늦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망자와 환자 수로 보면 '1등급 재난'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지난 17일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규칙 개정으로 폭염 휴식권이 가동된 것도 기후위기 시대의 생존 조건이 된 셈이다. 그럼에도 사회적 약자의 피해 집중은 왜 반복되는가. 현장 작업자에 대한 보호 부족, 냉방비 부담에 시달리는 노년층, 제도적 한계 등은 매년 반복돼온 지적이다. 
 
...
해당 기사는 뉴스토마토의 프라임 기사입니다.
프라임 기사는 로그인만 하셔도 3회까지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원아이디 로그인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