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7월 30일 16:41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권의 황금기가 저물고 있다. 고금리 덕에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며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왔지만 기준금리 인하와 대출총량 규제라는 벽에 가로막혔다. 업계 전반에서는 이제 장기적인 수익 기반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IB토마토>는 변화하는 외부 환경 속에서 금융업계가 추진하는 수익 구조 개선 전략을 짚어본다.(편집자주)
[IB토마토 이성은 기자] 상호금융업권이 수신 확대 기조에 브레이크를 건다. 수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모이는 돈을 쓸 데가 없어서다. 실행할 수 있는 대출 규모가 줄어들면서 실수요 대출을 두고 은행권과 직접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신협중앙회와 새마을금고중앙회(사진=각 사)
수신은 늘지만 성장률은 하락세
30일 한국은행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상호금융업권의 5월 말 수신 잔액 총액은 924조4065억원이다. 지난해 5월 말 수신 잔액인 893조3373억원보다 31조692억원 증가한 규모다. 특히 다섯 달간 수신은 빠르게 증가해 지난해 말 대비 19조3655억원 늘어났다.
상호금융이란 조합이 신용사업과 공제사업을 영위하는 것을 뜻하며, 조합은 신용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과 산립조합을 의미한다. 은행과 비슷하게 수신을 기반으로 대출을 제공하지만 서민 금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통상적으로 높은 수신금리를 제공해 자금을 조달한다.
1년 만기 예금 평균 제공금리에서도 차이를 볼 수 있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상호금융업권 평균 금리는 예금은행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2022년 상호금융업권과의 금리 차를 0.19%p까지 좁혔으나, 평균적으로 0.4%p 차이를 보였다.
상호금융업권 수신은 전반적으로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신협과 농·수·산림조합의 대출이 증가 폭이 도드라진다. 신용협동조합의 경우 두 달간 2조2084억원, 상호금융 2조2449억원이 불었다.
수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연간 성장률은 꺾인 모양새다. 최근 5년간 상호금융업권의 수신 잔액 증가율을 살펴보면, 지난 2020년 7.9%에서 기준 금리가 급등한 2022년 11.4%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2023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4.1%와 3.5%로 점차 하락하고 있다.
특히 상호금융업권에서 특판 등을 통한 수신 확보는 당분간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2023년 상호금융업권은 1년 만기 예금 상품을 판매하면서 예금은행 대비 0.4%p 이상 높은 금리를 제공했다. 그러나 지난해 두 업권의 금리 차는 0.18%p에 불과했다. 기준금리 인상기가 아님에도 차가 벌어지지 않는 것은 수신 확대를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다.
은행과 직접 경쟁 '부담'
상호금융업권이 굳이 수신 확대에 공을 들이지 않는 것은 여신 확대 등 수익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경기 악화로 인한 투자처가 부족해진 데다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실행되면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수신금리 비용은 꾸준히 발생하는 데 반해 이자수익이 부족해지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난해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간 상호금융업권 총여신 증가율은 2.9%다. 같은 기간 수신 증가율인 3.5%에 비해 0.6%p 낮다. 특히 규모로 보면 수신은 1년간 31조692억원 증가한 데 반해 여신은 19조6549억원 증가에 그쳤다.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전 역효과로 지난 몇 달간 은행권 등 금융업권의 가계부채가 폭증한 것을 감안하면 크지 않은 규모다. 게다가 6.27 가계부채 관리강화방안으로 은행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해야 하는 상호업권의 입장에서는 수신 확대는 더욱 부담스럽다. 덩치가 큰 은행 대비 경쟁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책자금대출과 소상공인대출, 가계대출 등 실수요 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을 확대해야 하지만 녹록지 않다. 대기업이 직접 조달을 늘리고 있는 데다 수가 한정적인 탓에 대부분의 금융권이 소상공인대출과 우량중소기업대출 확대를 포트폴리오 개편 방향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의 경우 수입 산정과 산업별 신용평가 등 실행 과정이 까다롭다. 특히 우량건의 경우 은행권이 선점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여·수신 확대 모두 쉽지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쉽지 않다. 30일 기준 새마을금고가 판매하고 있는 햇살론의 경우 약 8%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햇살론은 서민대출공동브랜드로, 대부업 등에서 높게는 40%의 금리를 부담하는 차주에게 돈을 빌려주는 상품이다. 저신용·저소득 차주인만큼 일반 가계대출 대비 건전성 악화 위험이 높다. 소상공인대출에서도 수익성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30일 기준 소상공인 정책자금 중 대리대출의 경우 대환대출이 연 4.5%, 일반 자금 대출은 대부분 2%대 금리를 적용한다.
상호금융업권 관계자는 <IB토마토>에 “실수요자 위주 대출을 은행권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라 수신 확대도 조심스럽다”이라면서 “정책자금대출과 소상공인대출 등을 확보하는 방법 뿐”이라고 말했다.
이성은 기자 lisheng124@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