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케이블TV가 홈쇼핑 수수료 감소, 콘텐츠사용료 급증, 매출 감소라는 삼중고에 처했습니다. 가입자 감소에 따른 수신료 매출이 40% 가까이 빠지면서 산업 전반의 비용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시장의 진단입니다. 구조적 한계를 풀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개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21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용희 선문대 교수는 "케이블TV의 주요 수익원인 수신료 매출과 함께 홈쇼핑 송출수수료, 광고 수익이 위축되고 있지만, 콘텐츠 비용 부담은 과도하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용희 선문대 교수가 21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주최 세미나에서 케이블TV 산업에 정부의 개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방송사업자 재산 상황 자료집에 따르면 케이블TV의 수익원인 수신료 매출은 2015년 9386억원에서 지난해 5719억원으로 39.1% 급감했습니다. 홈쇼핑 송출수수료와 광고 수익도 각각 8.1%, 22.8% 줄어들며 전반적인 수익 기반이 약해졌습니다. 반면 비용 측면에서는 재송신 비용이 2017년 대비 2024년 기준 38.5% 증가했고, 전체 방송 프로그램 비용 중 제작비와 구입비를 제외한 콘텐츠 사용료가 차지하는 비중도 80.4%에 달해 콘텐츠 비용 부담이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습니다.
매출 감소와 함께 이익 감소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2015년 4367억원에 달했던 영업이익은 2024년 149억원으로 무려 96.3% 감소했습니다. 전체 케이블TV 가운데 38개 사업자가 영업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김용희 교수는 영업이익 급감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방송통신발전기금의 과도한 부담을 짚었습니다. 그는 "지난해 케이블TV사들은 250억원을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납부했는데 이는 영업이익의 168.4%에 달하는 수준"이라며 "심지어 영업적자를 기록한 38개 사업자조차 95억원을 분담하고 있는데 케이블TV 산업이 이익보다 세금을 더 많이 내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구조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케이블TV 사업자들의 방발기금과 영업이익 비교. (사진=뉴스토마토)
현재의 케이블TV 산업이 생존을 위협받는 구조적 위기에 처해있다는 점을 감안, 현장에서는 정책적 개입 없이 산업의 존속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습니다. 케이블TV가 지역 균형 발전과 미디어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 기반인 만큼 산업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김 교수는 "올해가 사실상 골든타임으로 케이블TV 산업의 연착륙을 위해 지금부터 단계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며 "적자 케이블TV사를 대상으로 방발기금 감면에 나서고 지역채널 투자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도입하는 것은 물론 3년 후쯤에는 케이블TV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융합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뉴미디어 생태계로 전환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황희만 케이블TV방송협회장은 "지역 문화를 유지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케이블TV가 시작됐는데, 케이블TV가 무너지면 지역 미디어 기반이 함께 사라질 수 있다"며 "대기업이라는 이유로 지원조차 받지 못하는 현실은 재고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