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협상을 위해 출국했던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0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0일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치고 귀국해 "미 상무장관과 두 차례 만나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지난 5~10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해 한미 관세 협상 후 이날 인천공항으로 귀국해 "이번에 우리나라에 대한 상호관세가 8월 1일까지 약 3주간 유예됐다"며 "사실 3주가 굉장히 짧은 시간인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어떻게 협상을 가속화해서 '랜딩존'으로 빨리 협의를 진전시킬 것이냐에 초점을 두고 협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을 만나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고 있는 자동차·철강 등의 품목관세 인하와 부과를 예고한 25%의 상호관세 면제 등을 목표로 한 협상이었습니다.
여 본부장은 "한미 제조 르네상스 파트너십에 대해서 미국도 굉장히 관심을 보이고 호응하고 있다"며 "특히 조선, 반도체 등 미국 입장에서 산업 경쟁력과 국가 안보 측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산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미국과 협력을 하면서 미국 제조업 재건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인지에 굉장히 관심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습니다.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이번에 댄 설리번 알래스카 주 상원의원도 만났다"며 "한국 측에서 참가하기를 굉장히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했습니다. 다만 "우리가 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여러 가지 기초적인 상업성이라든가 정보가 미국 측에서도 이제 준비를 하고 있다"며 "계속 양측이 협의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자는 선에서 얘기를 했다"고 전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