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여름철 재난 대응 점검…고위험 사업장에 350억 투입
폭염안전 5대 수칙 ‘2시간 작업 20분 휴식’ 등 집중 지도
'실시간 감시' AI 홍수예보 체계 마련…풍수해 지역 점검
2025-07-10 17:37:29 2025-07-10 17:37:29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정부가 최근 이어지는 폭염과 집중호우 등에 대비해 '국가재난대응체계'를 점검했습니다. 정부는 '2시간 노동, 20분 휴식' 원칙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집중 지도하고, 고위험 사업장에는 35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국정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정책 방향을 밝혔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전국 183개 구역 중 165개 지역에 폭염특보가 내려진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는 9월30일까지 '폭염 안전 특별대책반'을 운영합니다. 특히 고용부의 '폭염 안전 5대 기본수칙'인 △시원한 물 △냉방장치 △휴식(2시간마다 20분) △보랭 장구 지급 △119 신고 준수 여부를 집중 지도 및 점검합니다. 50인 미만 소규모 폭염 고위험 사업장에는 추가경정예산(추경) 150억을 투입해 이동식에어컨, 제빙기 등 온열질환 예방 장비 등을 이달 말까지 신속 지원합니다. 
 
고령자 등 온열질환에 취약한 노동자를 다수 고용한 사업장을 대상으로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등을 지원합니다. 배달종사자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운영사 등과 협업해 시원한 물, 쉼터 제공, 쉬어가며 배달하기 등 폭염안전 캠페인을 실시합니다. 
 
행정안전부는 풍수해에 관련해 상습 침수지와 산사태 위험지역, 산불 피해지 등을 중점 점검합니다. 폭염에 관해선 지난 5월15일부터 '폭염대책기간'으로 지정해 수준에 따른 대응체계와 부처 및 지자체간 소통체계를 유지해 추진상황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하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홍수예보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또 홍수취약지구 지정·관리, 빗물받이 등 하수도 시설 점검 등 취약지역을 미리 파악하여 관리합니다. 한편, 식수 공급 차원의 녹조 대응을 위해 오염원을 관리하고, 댐·보 연계 방류, 취·정수장 관리를 강화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여름철 재해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관계기관과 인력·장비를 긴급 지원해 응급복구와 2차 피해방지를 위한 기술지원을 실시합니다. 재난지원금과 보험금도 신속히 지급할 계획이라고 보고했습니다. 최근 강원 영동 지역의 마른 장마 영향에 관해선 하천굴착과 공공관정 가동, 양수장비·급수차·물백 동원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급수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날 김 총리는 "이번에 논의한 대책들을 포함해 실제 현장에 와닿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추가 점검해 비상하고 섬세한 정책을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