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최근 10년간 연안여객선의 해양 사고 비중이 꾸준히 줄고 있습니다. 특히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 사망·실종 사례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듬해인 지난 2015년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업무가 공공 분야로 이관된 후 제도 전반의 변화가 현장에 축적되면서 사고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10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분석 결과를 보면, 2015~2024년 기간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 선박 척수는 총 324척으로 전체(3만766척)의 약 1.05%를 차지했습니다.
연도별로는 2015·2016년 각각 41척에서 2023년 35척으로 줄었으며 지난해에는 27척에 그쳤습니다. 10년간 연평균으로는 32.4척에 그치고 있는 겁니다.
10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 해양 사고 중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 비중은 세월호 참사가 있던 지난 2014년 2.4%였으나 지난해 0.8%로 3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사고 유형은 기관 손상(24.1%, 78척), 충돌(15.4%, 50척), 운항 저해(14.2%, 46척), 부유물 감김(12.3%, 40척) 순이었습니다. 특히 전체 해양 사고에서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5년 1.7%에서 2018년 0.9%로 낮아진 후 지난해 0.8%로 내려왔습니다.
전체 해양 사고 중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 비중을 보면,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지난 2014년 2.4%였으나 지난해에는 0.8%로 3의 1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아울러 연안여객선을 이용하다 해양 사고로 사망·실종한 사례는 0건이었습니다. 다만, 부상을 입은 여객 등 128명은 대부분 특정 사고에 기인했으며 연안여객선 해양 사고로 인한 부상자 발생 요인은 좌초(54.7%, 70명), 접촉(26.6%, 34명), 충돌(7%, 9명), 안전사고(7%, 9명) 등이었습니다.
연안여객선 안전운항 관리가 지난 2015년 민간에서 공공 분야로 이관된 이후 공공이 책임지는 예방 중심 체계로의 전환이 축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더욱이 연안여객선은 연간 약 1300만명이 이용하는 해상 대중교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5년 7월 정부가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기능을 기존 해운조합(민간 선사 단체)에서 해양수산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KOMSA로 이관하면서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정책, 구명 설비 등 선박·설비 기준, 선원 교육·해양안전 문화 제도 전반을 정비한 바 있습니다.
특히 더 안전한 바닷길 미래를 위해 전국 53개소 지능형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설치, 전국 11개 센터 풍향·풍속계 기상 데이터 시스템 구축, 수중·3D 맵핑 드론 활용 항로 점검 등 각종 첨단 기술을 안전관리 현장에 도입한 것은 주된 성과로 꼽힙니다.
지난 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를 찾은 학생들이 선박 항해 시뮬레이터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밖에도 KOMSA는 운항관리 인력 중 기상예보사 채용도 확대 중입니다. '내일의 운항예보' 서비스와 네이버·카카오 등 민간 플랫폼 길찾기 서비스의 '연안여객선 운항정보 연계' 등은 섬 주민과 연안여객선 이용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연안여객선이 중대 인명 피해 없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적 관심과 현장 종사자의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무거운 사명으로 연안여객선 안전운항 관리에 최선을 다해, 국민 신뢰에 보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