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가 지난 2007년 환수 결정을 한 이완용의 환수대상 재산자료.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을사오적 중 하나로 친일 매국노의 대명사 이완용의 후손이 친일 행위로 형성한 재산을 매각해 해외로 잠적한 사태에 대해 정부의 직무유기라는 지적과 함께 이에 대한 수사기관의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7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이완용의 증손 이윤형은 이완용으로부터 물려받은 서울 북아현동 일대 2354㎡(약 712평)의 땅을 팔아 캐나다로 이주했다"며 "이에 대해 깊은 참담함과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광복회는 "이는 이완용 후손 한 사람의 일탈적인 행동이 아니라, 다른 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게 '친일 재산을 빼돌리는 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중대한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광복회는 "해외로 빼돌린 금액의 많고 적음을 떠나 정부가 응당 관리해야 할 친일재산이 합법을 명분 삼아 방기하는 사이, 애국선열의 '핏값'이 유출된 것"이라며 "더욱 심각한 것은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는데도, 정부의 어느 부처도 아무런 대응과 대처 방법을 고민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광복회는 "지난해 11월에도 국가보훈부는 친일파의 재산을 확보해 놓고도 다시 해당 후손에게 매각하는 형식으로 돌려줘 국민의 공분을 산 바 있다"며 "광복회는 오래전부터 이완용 후손 등 친일파 후손의 재산찾기에 분노하며, 법무부와 보훈부 등 관계당국의 관심을 촉구해왔지만 당국은 그때마다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고, 결국 그런 태도가 이번과 같은 사태를 불러일으켰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광복회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2005년 제정된 '친일재산환수법'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는지, 친일재산의 환수과정에서 관계당국이 방조하거나 직무를 유기한 적은 없는지, 친일재산 환수와 관련한 사법적 카르텔이나 커넥션이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 지 즉각 감사하고 수사에 착수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광복회는 "친일재산을 적극 환수해 관리해야 하는 보훈부의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순애기금·친일귀속재산 매각 대금으로 조성) 관리기능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이번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보훈부의 순애기금 관리기능을 광복회로 이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